-
-
이기적 유전자 - 30주년 기념판
리처드 도킨스 지음, 홍영남 옮김 / 을유문화사 / 2006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간혹 어떤 책을 읽고 나면 관점이 달라지는 경우가 있다. 기존의 사고방식을 바꾸는 주장인데 매우 설득력이 있어서 기존의 생각과 새로운 생각이 동시에 들어 혼란스러운 경우가 있다. 이 책이 그러하다.
기존에 알던 상식은 인간을 비롯한 모든 생물은 번식을 하기 위해 유전자(DNA)를 이용한다는 것이다. 즉, 인간을 위해 유전자가 존재하는 것이다. 그러나, 리처드 도킨스의 주장은 이 반대다. 유전자가 자기 복제를 하기 위해 인간의 몸을 이용할 뿐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인간은 그저 유전자가 자기복제를 위해 이용하는 기계이거나 운반자일 뿐이다.
다윈의 진화론이란 환경에 잘 적응한 개체들이 살아남아 진화하는 것이 기존의 상식이라면, 리차드 도킨스는 이기적이고 우세한 유전자가 자기복제를 통해 진화하는 것이다. 진화의 단위를 다윈은 개체에 둔 반면, 도킨스는 유전자에 두고 있다. 개체는 그저 유전자를 보호하고 수행하는 껍데기일 뿐이다.
읽기에 어려운 책이다. 12장에서 언급되는 죄수의 딜레마와 같은 게임의 수를 계산할 때는 머리가 지끈거릴 정도고, 수많은 동물행동학자의 이론이나 생물학적 이론에 찬반을 하며 저자의 주장을 펼쳐 나갈 때에는 미처 언급한 이론조차 모르는데 저자의 논리를 따라 읽어야해서 자주 오리무중에 빠지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끝까지 읽게하는 저력은 이해하기 쉽게 예를 들어 설명하거나, 자기 주장을 뒷받침하는 흥미로운 생물의 행동을 소개하는 것이 너무 매력적이기 때문이다.
흥미로운 부분 중의 하나는 6장에서 언급한 부모간의 친자관계이다. 많은 종에서 어미는 아비보다 자기자식을 확신할 수 있다. 딸이나 손녀는 아이의 유전자가 확실하지만, 아버지나 할아버지의 경우 자신의 자식인지에 대한 확신이 약하기 때문에 책임감이 덜하다. 외가가 친가보다 이타적인 이유다.
이 책의 소제목은 모두 비유적이다. 이를 테면 '자기 복제자'는 이 책의 가장 핵심이 되는 유전자(DNA)의 속성을 비유한 것이고, '유전자 기계'는 유전자가 자기 복제를 하기 위해 이용하는 몸을 의미한다. '밈(meme)'은 유전자(gene)와 철자를 맞춘 것으로 인간이 복제하는 문화의 최소단위를 의미한다.
동물행동학이나 유전자에 대해 깊은 지식이 없는 사람에게 이 책은 다 읽기에 오래 걸린다. 이해가 안가면 잠시 인터넷의 도움을 받아 의미를 파악하고 계속 읽어나가거나 이래저래 모르겠는 것은 이해한 것으로 치고 읽어나가야한다. 그래도 다윈이래 동물행동학자들의 다양한 연구와 도킨스의 상식을 깨는 주장은 흥미롭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