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움받을 용기 (반양장) - 자유롭고 행복한 삶을 위한 아들러의 가르침 ㅣ 미움받을 용기 1
기시미 이치로 외 지음, 전경아 옮김, 김정운 감수 / 인플루엔셜(주) / 201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내가 갖고 있는 이 책은 2018년 발행된 것인데 2014년 처음 발행한 이래 초판 72쇄이다. 엄청난 베스트셀러다. 제목은 익히 들어 알고 있었으나 왜 많은 사람들이 그리 열광하는지 그 열기가 식은 후에 읽어보자 생각했다. 제목만으로 유추했을 때 에세이같은 느낌이었으나, 오스트리아 심리학자인 아들러의 심리학을 철학자와 청년이 나누는 대화로 구성한 인문학 책이다.
모르는 사실이었는데, 아들러는 프로이트와 융과 더불어 심리학의 3대거장이다. 프로이트와 그의 제자 융의 심리학은 '원인론'이다. 과거의 트라우마 때문에 현재의 나의 모습을 설명하는 식이다. 이에 반해 아들러의 심리학은 '목적론'이다. 인간은 현재의 목적을 달성하려고 수단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히키코모리는 프로이트에 의하면, 불안하기 때문에 밖으로 나오지 않는 것인데, 아들러에 의하면, 밖으로 나오지 않으려고 불안하다는 마음을 이용하는 것이다.
아들러에 의하면, 인간의 모든 고민은 인간관계에서 나온다. 남과 나를 비교하기 때문에 열등컴플렉스를 갖는 것이다. 그러나 자신이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나의 인생의 의미를 내가 부여해야한다. 그리고 타인이 나를 배신하리라는 두려움을 없애고 남을 신뢰하면, 공동체 안에서 내 존재만으로 내가 누군가에게 도움이 된다는 공동체 감각을 얻게 된다. 그렇게 인생은 행복하다. 과거의 원인을 들어 현재의 나를 구속하지 말고, 미래의 목표를 위해 현실을 불평하지 말고, 지금, 여기를 사는 것이 행복이다.
유대인 말에 10명 중 나를 싫어하는 사람이 1인, 나와 친구가 되는 사람이 2인, 그냥 아무도 아닌 사람이 7인이라고 했듯이, 세상에는 나를 좋아하는 사람도 싫어하는 사람도 있다. 그런데 그 수가 절대적으로 많지 않다. 그 소수를 위해 내 인생을 거기에 맞출 필요는 없다. 그러므로 미움받아도 내가 내 인생을 어떻게 살기로 결정한다면, 그들의 간섭없이 자유롭게 내 인생을 사는 것이 행복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용기가 필요하다.
이 책이 베스트 셀러인 점을 이해하겠다. 저자인 일본인을 비롯해 우리나라 사람들도 상당히 남의 눈을 의식하며 산다. 그로인해 피곤해지고 내가 누구를 위해 살고 있는지 회의가 들때가 많다. 타인에게 미움받지 않으려고 내 인생을 거기에 맞춰 사는 것에 대한 일침을 놓기에 이 책이 인기가 있으리라 생각한다. 아들러의 심리학은 서구적인 개인주의 사상이 많이 담긴 듯하다. 서양인들은 비교적 자기자신이 모든 것을 결정하고, 남의 눈치를 많이 보지 않는 편이기 때문이다. 이 책은 그들에게는 너무 당연한 내용일지도 모르겠다.
소크라테스의 대화처럼, 아들러의 가르침에 반박을 하던 청년의 입장에서 읽어나가다가 마지막에는 철학자의 이야기에 순응하게 되는 나를 발견하게 되는 책이다. 흥미로운 내용이고 깨달음이 큰 책이다. 인간관계에 힘들어하고 있다면 일독할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