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은 어쩌다 이렇게 되었나 - 가깝지만 정말 가까워져야 하는 나라, 일본! 일본 연구 시리즈 3
신규식 지음 / 산마루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인에 관한 연구를 많이 하는 작가인가보다. 작년에 펴낸 <일본인은 악한가>와 <일본인에게 애국심은 없다>에 이은 세 번째 시리즈이다. 제목이 내는 뉘앙스가 애매하다. 혀를 끌끌 차며 왠지 안됬다는 부정적인 의미가 강한 질문인데 동시에 '왜? 일본인이 어떻게 되었길래?'라는 궁금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어쩌다 이렇게 된 것'에 대한 근원을 역사에서 찾고 있는데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일본인의 부정적인 모습과 긍정적인 모습을 다룬다.  

 

이 책의 강점은 간단한 구성이다. 2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1장 '징징거림이 통하지 않는 완전한 짓누름'과 2장 '잇쇼우겐메이'이다. 일본인 특유의 '학습된 무기력' 좋게 말하면 순종적이고 질서정연한 성향은 중세 무사계급이 타 계급을 칼로 다스리면서 압박한 영향이라고 한다. 그에 비해 우리나라는 글을 통해 관리가 된 지배계급이어서 서민들이 비교적 자유로운 기질이 있지 않나 추측해본다. 2장은 이 '학습된 무기력'의 일본인들에게는 과거 신분상승의 기회가 전혀 없었기 때문에 자기분야에 깊이 파고 들어 전문가가 되는 '천하제일 사상'을 추구하게 되었단다. 그래서 열심히 일한다는 잇쇼우겐메이가 일본인의 두번째 성향이다.

 

1장에서 저자가 예시하는 기독교에 대한 탄압으로 모든 이들에게 기독교인이 아님을 증명하는 증명서를 불교사원에서 내주고 이 것이 호적제도로 발전하게 되었다는 것이 아이러니하다. 그 후 불교에 대한 탄압으로 일본 불교 역시 현재 왜곡된 모습으로 존재하고 있지만 말이다. 일본에서는 살아서의 종교와 상관없이 죽으면 가족이 소속된 절에서 장례를 지낸다는 여행 가이드의 설명이 이제야 이해된다. 2장 '잇쇼우 겐메이'에서는 매우 열심히 일해서 각 분야 최고가 된 사람들의 예를 든다. 오노의 스시는 평생 기다릴 가치가 있는 맛이라고 평판을 받고, 에비하라 맥주의 맥주 따르기 장인의 이야기, 노벨상을 많이 수상한 이유 역시 자신의 분야에서 잇쇼우 겐메이하는 일본인의 성향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1장을 읽다보면 안됬다는 생각이 들지만 2장에서는 반전으로 그래서 장인이 많아진 이유를 알게 된다.

 

이 책의 강점은 구성만큼 간결한 서술이다. 어렵지 않은 문장으로 간결해서 가독성이 좋다. 또한 다양한 사진을 제시한 것도 좋다. 사실 중세 일본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일본어에 익숙하지 않은 독자에게 저자의 친절한 설명과 사진 자료가 없다면 그 시대를 이해하기 쉽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출처를 꼬박꼬박 밝힌 것도 특이한 점이다.

 

현대를 살아가는 일본인이 왜 그러한지 의문이 든다면 일독할 만한 책이다. 저자가 앞서 저술한 시리즈도 다 찾아 읽어봐야겠다.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공정하게 일본인을 관찰하는 저자의 관점이 마음에 들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