딱 이만큼의 경제학 - 먹고사는 데 필요한
강준형 지음 / 다온북스 / 2018년 4월
평점 :
절판


먹고 사는데 필요한 만큼의 경제학 책이라는 이 책은 경제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를 돕고자 쓴 책이란다. 따라서 돈을 많이 벌게 해주는 투자서나 재무관리와 같은 책이 아니라고 프롤로그에서 단단히 밝히고 있다. 다 읽고 나면 '아...고등학교 때 배운 경제를 현실의 뉴스와 사건에 적용하여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 책이구나'라는 생각이 든다. 지나친 경제 공식이나 숫자를 대폭 배제해서 읽기 부담스럽지 않아 좋다.

첫 두 장은 미시경제와 거시경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미시경제는 수요와 공급을 중심으로 시장경제가 어떻게 돌아가는지에 대해, 거시 경제는 정부의 경제성장과 중앙은행의 물가안정이라는 서로 다른 목적 사이에서 국가경제가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쉽게 설명은 하고 있지만 딱히 재미있지만는 않다. 다행히 나머지 두 장이 더 재미있다. 실제경제는 앞에서 다룬 이론이 실생활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에 대해서 다루는데, 인간이 꼭 합리적인 결정을 하는 것만은 아님을 알려주는 재미있는 이론도 소개하고 있다. 마지막 역사경제는 통시적으로 경제 위기와 공황상태에 있었던 사건들을 소개하며 교훈을 찾아내는데 흥미롭다.

관심있게 읽은 것이라면, 국민 건강을 위해 담배값 인상의 효과를 보았는지에 대한 분석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왜냐하면 담배라는 것이 가격 탄력성이 떨어지는 품목이라서 극한의 가격 인상이 아니고서는 피우던 사람들이 담배를 끊게 하지는 않는다는 것이기 때문이란다. 세수를 늘리기 위한 수단이었다는 불평이 그리 틀리지 않는다고 보면 된다고 한다. 또한, 올해 대폭 올린 최저임금액에 대해 중소기업의 경우 고용의 감축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완책이 마련되었어야 했다고 한다. 정부의 역할이 중요해 보인다.  

저자는 경제를 잘 알기 위해 일반인에게 4 단계를 시행해 보라고 제시하는데, 바로 해볼 수 있을 것 같다. 먼저 경제 뉴스를 장기적으로 읽는다. 경기의 흐름을 알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관심을 두고 읽어야 한단다. 두 번째 언론사 몇 곳의 경제칼럼을 정해 홈페이지를 즐겨찾기를 하고 읽는다. 세 번째 내 생각을 블로그나 SNS에 써 본다. 마지막으로, 경제의 한 분야 즉, 특정 국가(미국, 중국, 일본 등)의 경제나 주식시장, 환율과 같은 분야를 하나 정해 꾸준히 정치적 사회적 맥락과 함께 이해하도록 하면, 전문가 수준이 될 수 있단다. 해볼만 하다.

경제의 기본원리를 정리하고자 한다면, 또 경제원가 실생활에 적용된 것을 알고 싶다면 일독하기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