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붉은 엄마
김지연 지음 / 그리고 다시, 봄 / 2025년 3월
평점 :
<평화 시장>이라는 작가님 그림책을 본 적이 있다. <평화 시장>에서의 그림체와 비슷하면서 다른 느낌을 느끼며 그림책을 펼쳐보았다.
오랜만에 휴가를 떠나는 가족의 여행길을 함께 따라가다 보면 푸른 바다에 도착한다. 아늑하고 조용한 바닷가에 도착하자 엄마는 '끙 차'하며 짐을 꺼낸다.
"나는 돌봐야 할 것이 많아요. 엄마니까요."라는 말과 함께 짐을 나르는 엄마의 모습이 등장한다. 엄마는 그렇게 이런저런 준비를 하다가 '아이고' '아이고 고고'하며 일단 눕는다. 바다를 향해 누워있는 엄마의 뒷모습을 보니 엄마의 표정이 궁금해졌다. 아이에게 엄마는 어떤 표정일까? 물어봤더니 행복한 표정이라고 한다. (그림책 오자마자 이미 열어봤다고) 엄마는 "좋다! 좋다! 너무 좋다"라고 하며 행복한 표정이다. 이 표정만 봐도 기분이 좋아진다.
바닷가, 파라솔 아래 달콤한 게으름을 누리려는데 엄마의 마음을 모르는 바람은 파라솔을 가져가버린다. 엄마의 몸은 붉게 붉게 물들어 '붉은 엄마'가 되어버린다. 너무 뜨거워서 그늘이 필요한 그런 엄마에게 파라솔이 아닌 또 다른 그늘이 등장한다. 어떤 그늘일까?
엄마들은 붉다. 엄마로서의 역할을 다하느라 뜨거워진다. 때로는 너무 뜨거워져서 그늘이 필요하다. 그런 엄마에게 그늘을 주는 존재가 있다. 그래서 엄마는 또다시 행복해진다.
"엄마는 언제나 다정히 찰랑찰랑하다. 넘치면 집착이 되고 부족하면 방임이 된다. 비가 오나 눈이 오나 바람이 부나 엄마는 찰랑찰랑 곱고 예쁘다. 내가 이렇게 오래 다정한 것이 무엇이 있을까. 어떻게 이렇게까지 사랑할 수 있을까. 지금 막 두 손 비벼 다정의 불을 피우는 젊은 엄마에서부터 오십이 넘은 나를 아가라고 부르는 우리의 엄마들까지 당신의 무한한 다정에 존경과 우정을 담아 감사를 드린다. 엄마라고 부르며 '영원불멸의 열정'이라고 새긴다." - 작가 노트-
작가 노트의 글을 옮겨 적으며 나의 엄마, 나의 딸을 떠올리며 글을 마친다.
* 이 책은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주관적인 견해를 더해 작성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