깔때기 포트
김이수 지음 / 나무옆의자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처음 보았을 때 제일 먼저 든 의문은 깔때기 포트가 뭐지하는 의문이었습니다책을 읽어보니 깔때기 포트란 인천의 재개발 지구로 막다른 골목으로 이어져 있는 항구(포트)의 끝입니다범죄 집단들이 처단할 사람이 있을 때 깔때기 포트와 연결된 막다른 골목인 삽치기 골목으로 몰아넣고는 계속 밀어붙여 희생자가 깔때기 포트의 바다 속으로 빠져서 결국 죽게 된다고 합니다그래서 깔때기 포트 바다 밑바닥에는 토끼몰이를 당해 수장된 해골이 수복하다고 합니다즉 한번 들어서면 결코 도망칠 수 없는 막다른 길을 뜻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인천상륙작전 당시 미군이 월미산의 인민군 방어시설을 무력화하면서 민간인 마을까지 네이팜탄으로 폭격하는 바람에 수많은 민간인 사상자가 나왔던 아픈 역사를 지닌 곳이라고 합니다이후 미군은 월미도에 상륙해 살아남은 원주민을 모두 내쫓고 마을을 미군기지로 사용했었는데월미도 포격으로 쫓겨난 원주민이 모여 살면서 형성된 무허가 판자촌이 바로 깔때기 포트로 이 곳의 출신인 주인공의 상황을 반영하는 곳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참고로 언덕에서 포구로 이어지는 동네의 형태가 여성의 자궁 모양 같다 하여 깔때기 포트라 이름이 붙여졌다고 합니다.

 

이처럼 이 소설은 제목부터 무시무시하고 어두운 범죄현장을 암시하는 누아르 소설이라고 하겠습니다간단히 줄거리를 살펴보면 소설은 주인공인 가난한 대학생 영민은 등록금을 스스로 마련하기 위해서 돈을 벌기 위해서인천 지역의 전설적인 폭력 조직 장바우파의 말단 조직원인 친구 상구의 소개로 그들이 불법으로 들여와 판매하는 약을 배달하는 아르바이트를 시작하는 것으로 출발합니다불법적인 일이고 또 무시무시한 폭력 조직과 연계된 일이라는 점이라 망설이기는 했지만 수입이 다른 일과는 비교할 수 없이 좋다는 유혹에 빠져 배달일을 시작하게 됩니다그리고 마침 깔때기 포트는 재개발업자들과 땅 주인들에게 일확천금을 낳는 황금어장으로 탈바꿈하려는 중이어서 깔때기 포트 재개발 사업권을 따낸 한영건설과 그들의 뒤를 봐주는 장바우파는 오랜 세월 정부를 상대로 월미도 사건 진상규명과 피해자 보상을 요구하고 있는 깔때기 원주민들을 쫓아내려 하면서 이 곳 출신이기도 한 주인공은 선택의 기로에 놓이게 됩니다.

 

그러던 어느 날 밤약 배달 사무실 금고가 털리고일대를 발칵 뒤집은 방화 사건이 일어나고 이에 대응하여 장바우파가 한번 들어가면 절대로 빠져나갈 수 없다는 깔때기의 삽치기 골목에서 배신자를 응징하는 토끼몰이를 시작하면서 이 소설은 절정으로 그리고 결코 행복할 수 없는 결말로 치달아 갑니다.

 

이 소설의 작가는 현재 국회 입법조사처 경제산업조사실에서 입법조사관으로 근무하고 있는 독특한 현직 국회 공무원입니다그는 공직 생활 중에 소설 작법을 배워서 노력 끝에 2013년 단편 위대한 유산으로 김유정신인문학상을 받으며 등단을 했고 이 소설을 쓰게 되었다고 합니다이 소설은 소설 자체로서도 실험적인 내용으로 복합적인 의미를 지닌 장소를 배경으로 기로에 놓인 주인공의 긴박한 상황을 나름 생생하게 살려낸 한국판 누아르 소설이라고 평할 수 있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