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수의 질문법 - 최고들은 무엇을 묻는가
한근태 지음 / 미래의창 / 201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는 항상 질문을 하게 되어 있습니다가족들에게 어제 못 본 드라마 제목이 무엇이었는지 묻는 것부터 시작해서 면접 시 묻는 날카로운 질문들 업무상 필요한 질문 그리고 심지어는 우리가 늘 하는 인사들조차도 안녕하셨어요?’ 또는 식사하셨어요?’라는 의문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그러나 그렇게 일상적으로 하는 질문들에 대해서 심각히 고민해 본 적을 없을 것입니다.

 

이 책에서 저자는 말을 잘하는 사람은 많지만 질문을 잘하는 사람이야말로 진짜 고수라고 하며 질문을 잘해야 우리가 성장할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예를 들어 자신에게 질문을 하여 야 자신을 객관적으로 들여다 볼 수 있다고 합니다또 질문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알아야하기 때문에 공부를 하게 되면 호기심과 궁금증이 생기고 그에 따라 자연스럽게 질문도 하게 된다고 합니다.

 

저자에 따르면 질문을 잘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전제조건이 하나 있는데 그것이 겸손이라고 합니다즉 자신이 모든 것을 안다고 혹은 최고라고 자만하게 되면 질문을 할 수 없습니다그래서 저자는 옛 속담의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말라는 사자성어를 넘어서 수치불문 즉 모르면서 묻지 않는 것을 부끄러워하라로 바꾸고 싶다고 하며 겸손하게 자신이 모른다는 것을 인정하라고 합니다이는 너 자신을 알라라고 하며 상대에게 잘 모르겠다라는 말이 나올 때까지 질문 공세를 퍼부었다는 소크라테스의 방식이 떠오르게 합니다질문을 함으로서 자신의 정신적 토대를 단단히 할 수 있으므로 질문이야말로 우리를 진정한 고수로 성장시키는 가장 중요한 자양분이라고 강조합니다.

 

이 책의 제목이 고수의 질문법이라는 점에서 그럼 질문의 고수가 무엇인가 하는 의문이 들었습니다저자는 질문의 하수와 중수 그리고 고수의 세 가지로 구분하고그 차이점을 설명하고 있습니다우선 하수는 자신이 아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묻고중수는 상대의 입장에서 이해하고 공감하기 위해 묻는다하지만 고수는 상대를 배려하면서 상대가 필요를 한 것을 이끌어내 주기 위해 묻는다고 합니다즉 질문의 고수는 상대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묻는다는 것입니다다음으로 하수는 결과를 묻고중수는 과정을 물으며고수는 상대의 인식 지평을 확장시켜 보이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의도를 묻는다고 합니다.

 

저자는 질문을 의도에 따라 목표달성인간관계업무성과의 향상 그리고 리더십을 기르기 위한 질문으로 나누어서 여러 가지 사례를 들며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그래서 이 책을 읽으시는 들은 이 책에서 자신의 의도에 맞는 질문에 대해서 설명하는 부분을 찾아서 읽어보면 큰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