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지 유신 - 흑선의 내항으로 개항을 시작하여 근대적 개혁을 이루기까지! 이와나미 시리즈(이와나미문고)
다나카 아키라 지음, 김정희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20년 11월
평점 :
품절


잘 알려져 있듯이 일본은 세계적인 경제대국입니다. 수많은 산업을 선도해왔고 특히 부품 및 장비산업과 자동차 산업은 지금도 전 세계에서 가장 인정받는 기술력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그러한 경제적인 성공 뒤에는 많은 문제점도 드러내고 있는데, 최근의 급격한 산업변화에 뒤처지면서 경제는 침체되고 인구는 초고령화의 절벽 속에 오히려 감소하는 중입니다. 이러한 와중에 과격한 우익 세력들이 득세를 해서 수 십 년간 주변국들과 마찰을 빚는 과거사 문제를 비롯해서 혐한산업이라고도 할 만큼 우리나라에 대해서 좋지 않은 인식을 퍼뜨리고 길거리에서 한국인을 죽이자는 시위를 대놓고 하고 있습니다. 일찍이 후쿠자와 유키치가 ‘문명론지개략’이라는 유명한 저서에서 일본인의 특성에 대해서 기술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는 일본인의 국민성은 봉건적인 인간관계에 수반하는 권력에 대한 복종심을 갖고 있으며, 메이지유신 이후에도 여전히 봉건시대의 권력복종 경향이 강하게 남아 있다고 지적합니다.

 

일본 내부에서도 인식하듯이 메이지 유신은 일본을 근대화시킨 엄청난 사건임에는 분명하지만, 일본 엘리트 사무라이 간에 그리고 일본 개화된 번들이 막부를 대체해서 권력을 잡은 사건으로 아래에서부터의 혁명이 아니라 일반 국민들의 의식과 정치구조는 지배-복종으로 전근대적으로 남은 미완의 개혁이었고 아직도 그 미완이 유지 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홋카이도대학 문학부 조교수, 교수, 삿포로학원대학 교수를 거쳐, 홋카이도대학 명예교수를 거친 저자는 이 책에서 다양한 사료를 통해 메이지 유신 당시의 역사적 사건들을 깊이 파고들며, 메이지 유신이 가지는 명과 암의 성격을 명확히 드러냅니다. 또 메이지 유신은 분명 뛰어난 성취를 이루었으나 급격한 변혁에 따른 모순점 또한 많았는데, 이와쿠라 사절단으로서 서양의 국가체제를 확인하고 온 유신의 주도자들이 대국주의 노선을 채택하면서 일본 사회, 정치가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지 자세하게 설명합니다.

 

특히 조선의 제패를 노린 정한론이 어떻게 부각되었는지도 생생하게 보여주는 점이 인상적이었는데요. 막부말기의 양이론은 조선에 대한 우월의식과 결부되어 연대론보다도 정한론으로 기울어져 갔고, 이러한 경향을 바탕으로 기도 다카요시를 비롯한 유신정권의 리더들은 ‘만국’과 ‘대치’하기 위해서 일본의 통일국가 형성이 과제로 떠올랐을 때 일본과 조선은 ‘입술과 치아’의 관계, 즉 입술과 치아처럼 서로 밀접한 관계에 있다는 것을 강조했다고 합니다. 저자는 조선이야말로 ‘황국의 국체’가 일어서 나갈 수 있는 기초이자 ‘만국경략진취(만국통치를 위해 스스로 나아가는 것)’의 기본이라고 단언했고, 조선에 대한 생각은 그 이후에도 일관되었다고 지적합니다. 메이지 유신에 대해서 우리가 단편적으로 알고 있었던 내용들을 잘 정리해서 알려주는 좋은 입문서라고 생각합니다.

 

"본 서평은 리앤프리 카페를 통하여 책을 제공 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