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스토텔레스 수사학 (그리스어 원전 완역본) 현대지성 클래식 30
아리스토텔레스 지음, 박문재 옮김 / 현대지성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보고 이 책의 제목인 수사학이란 무엇일까라는 궁금증이 들어서 찾아보았습니다. 수사(修辭)는 말이나 글을 다듬고 꾸미는 행위고, 수사학(修辭學)은 이러한 수사를 다루는 학문, 즉 효과적인 표현으로 사람들에게 영향을 끼치는 커뮤니케이션 방법론이라 하겠습니다. 이러한 수사학이 처음 개척된 것이 바로 2,400년 전인 고대 그리스입니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어떻게 말을 해야 사람들을 잘 설득할 수 있을까 궁리했는데, 당대 최고의 수사학자로 꼽히는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수사학의 핵심이 바로 설득력이라고 합니다. 이 책은 바로 아리스토텔레스가 집대성한 수사학 교과서라 하겠습니다.

 

고대 그리스의 도시국가는 조상 대대로 내려온 제의를 중심으로 도시와 주변 농촌으로 이루어진 자율적 시민공동체였고, 아리스토텔레스가 활동한 시대에는 그리스 전역에 천 개에 이르는 도시국가가 존재했고 직접 민주주의가 가능했다고 전해집니다. 도시국가의 크고 작은 일이 시민 전체가 참여하는 민회, 대표자들이 참여하는 의회와 위원회들, 시민배심원이 참여하는 법정에서 논쟁과 토론을 거쳐 다수결로 결정되어 현대 민주주의의 기틀이 이 때 형성되었습니다.

 

이 책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기존의 민주정치를 토대로 올바른 설득 기술인 수사학을 통해 정치를 더 나은 방향으로 이끌어나가기를 추구하며, 증명은 소홀히 한 채 감정만 부추겨 자신에게 유리한 쪽으로 이끌어가려는 소피스트들의 수사학을 비판하고 있습니다. 나아가 변증학적 기초 위에 어떤 것이 국가에 이롭고 정의로우며 훌륭한 것인지를 개연적으로 증명해내는 수사학을 가장 좋은 ‘설득의 기술’로 정의합니다.

 

사실 아리스토텔레서의 수사학은 크게 세 권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이 책에는 이 세 권이 이 책 한 권에 모두 정리되어 있는데, 1권에서는 수사학의 본질로부터 시작해서 수사학의 정의와 유형 등 수사학의 전체적으로 내용을 개관한 후에, 연설가가 사용해야 할 설득 수단이자 수사학에서 다루어야 할 내용 중 논리적 추론에 해당하는 ‘로고스’와 관련한 전제들을 집중 설명합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수사학의 요소로 로고스(이성), 파토스(감성), 에토스(도덕성)를 꼽았는데, 이 세 요소는 이야기의 논리, 공감, 그리고 이야기하는 사람에 대한 신뢰로 풀이할 수 있겠습니다. 2권에서는 그 중 ‘에토스’와 ‘파토스’를 설명합니다. 마지막 제3권은 연설가가 신경 써야 할 추가 문제, 즉 문체와 배열, 그리고 전달의 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요즘 시대에도 수사학 즉 말하는 방법들에 대한 책들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은 로마의 키케로와 퀸틸리아누스를 거쳐 중세에 이르기까지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현대에도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을 빼놓고 새로운 수사학을 논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합니다. 이렇듯 수사학의 기원이라고도 할 이 책을 통해서 수사학에 대해서 제대로 배워보려는 분들이 읽어보시면 좋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