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쟈의 한국 현대문학 수업 - 세계문학의 흐름으로 읽는
이현우 지음 / 추수밭(청림출판) / 2020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서평가 '로쟈'로 활동해온 이현우씨가 한국현대문학을 주제로 진행한 강의를 묶어 펴낸 책입니다. 저자는 러시아문학 전공자이자 서평가이며 세계 문학 전반에 관해 활발한 강연 활동을 펼쳐 왔고, <한겨레>와 <경향신문> 등에 서평과 칼럼을 연재하고 있고 ‘로쟈의 저공비행’이라는 블로그를 통해 서평가로 활동 중입니다. 저는 문학에 관심이 있고 특히 한국 문학에 관심이 많아서 문학을 쉽게 설명해 주는 이 책의 저자 분의 글도 많이 읽고 있고 저자의 전작도 읽어보았습니다.

 

저자의 글들을 읽을 때마다 느끼는 것이 재미있으면서도 알찬 즉 재미와 내용을 모두 잡은 글들이라는 느낌입니다. 그래서 재미있게 다 읽고 나서도 많이 얻어간 뿌듯한 기분이 들곤 했습니다. 저자 분이 쓴 세계의 문학에 대한 책들은 이미 읽어서 한국 문학에 대한 책을 읽고 싶었는데 마침 이 책이 나와서 읽어 보았습니다.

 

이 책이 기존의 한국현대문학 책들과 다른 점은 손창섭과 도스토옙스키, 최인훈과 한나 아렌트, 이병주와 발자크 등 세계문학의 흐름에 바탕을 두고 한국 소설과 세계문학을 함께 읽는 참신한 독법을 시도했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이를 통해서 한국문학의 흐름, 문학사조의 발전을 10년의 주기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저자에 따르면 1950년대부터 한국현대문학 작가들은 역사적 격변을 맞이하는 과정에서 혼란을 겪는 한국인의 정체성을 탐구하고자 했고, 1960년대부터 나타난 자본주의의 인간상과 사회적 모순의 실체를 파헤치는 작품들이 많습니다. 또 1980년대부터 등장한 한국의 교양소설들은 자전소설의 형식을 많이 띠었다고 합니다.

 

이 책은 한마디로 정말 속이 '샤방샤방'한 한국 문학 교과서이자, 읽고 싶어지는 문학 역사서라 하겠습니다. 그렇지 않아도 한국 문학사를 공부하고 싶었는데 너무 교재들이 딱딱해서 읽기가 싫었는데 이 책을 반복해서 읽고 또 이 책에 소개된 한국문학을 이끌었던 최인훈·손창섭·김승옥·황석영·이문열 등 대표 작가 10인의 소설들을 하나씩 찾아 읽으면 한국 현대 문학은 물론 세계문학에 대한 이해도도 높일 수 있을 듯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