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는 모두 별에서 왔다 - 138억 년 전 빅뱅에서 시작된 별과 인간의 경이로운 여정 ㅣ 서가명강 시리즈 9
윤성철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1월
평점 :
서울대 대표 융합 과학 명강의들인 ‘서가명강’의 오디오 클립을 들어 보았습니다. 이 책의 저자는 서울대 의과대학 법의학교실 교수로 이 책은 서울대 인기 교양과목 〈인간과 우주〉에서 진행한 수업 내용을 바탕으로 쓴 책이라고 합니다. 저자는 이 책에서 138억 년 전 빅뱅에서 시작된 별의 여정과 생명체의 경이로운 탄생 과정을 추적하고 있습니다.
이 책은 크게 네 개의 부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각 부는 ‘코페르니쿠스 혁명, 인간은 왜 우주의 미아가 되었는가’로 시작해서 ‘빅뱅, 우주는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그리고 ‘별과 인간, 우리는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외계 생명과 인공지능, 인류는 어디로 갈 것인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저자는 우주에는 수많은 우연적 사건이 발생하며 이런 사건의 연속을 우리는 역사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나아가 지구의 자전축이 결정된 것도 인간의 출현도 모두 복잡다단한 우주 역사의 일부로 발생한 일이라고 지적합니다. 이런 역사를 모른다면 우리는 결코 우리 자신과 우주를 이해할 수 없다고 봅니다. 저자는 이러한 우주의 역사를 분석하고 또 여러 과학적 근거와 이론을 제시하며 별과 인간의 구성 물질이 같다는 사실을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저자는 정상우주론의 자리를 빼앗고 현대 천문학의 중심에 선 빅뱅우주론을 바탕으로, 별 내부에서 합성되는 물질은 별의 탄생과 죽음이라는 순환 과정을 통해 우주로 퍼져나가 별과 별 사이를 떠도는 생명의 씨앗이 되며 이는 다시 새로운 별로 탄생하거나 지구에 떨어져 우리 인간과 같은 생명체가 되어 가는 모습을 이야기 합니다. 여기서 우리 몸을 이루는 원소 중 하나인 수소는 빅뱅을 통해 우주에 존재하게 된 물질이라고 지적합니다.
2018년 우리나라에서도 국산 액체로켓 누리호의 시험발사에 성공했었죠. 그리고 얼마 후 화성 탐사선 인사이트의 성공으로 그리고 언론 보도 등을 통해서 화성에 대해 관심이 고조되는 등 더 많은 분들이 우주탐사나 우주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우리 몸은 빅뱅의 순간을 기억하는 우주 그 자체인 동시에 별에서 온 먼지"라는 것이라고 말하는 이 책은 많은 사람들의 우주와 빅뱅 이론에 대한 호기심을 충족시켜줄 수 있는 좋은 우주 입문서로서 보입니다.
사실 이 책은 2017년 여름부터 현직 서울대 교수들이 역사·철학·과학·의학·예술 등을 주제로 펼친 명강연으로 '서가명강(서울대 가지 않아도 들을 수 있는 명강의)' 시리즈라는 명칭으로 팟캐스트를 통해서 온라인 독자들을 만났고 이번에 '서가명강' 아홉 번째 책으로 세상에 나왔습니다. 앞으로도 정말 기대되는 시리즈가 아닐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