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리버 트위스트 (완역본) 현대지성 클래식 29
찰스 디킨스 지음, 유수아 옮김 / 현대지성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마 ‘올리버 트위스트’라는 소설을 처음 들어보는 사람은 별로 없을 듯합니다. 가장 ‘디킨스다운’ 소설이자 19세기 최고의 영국문학으로 불리는 대단히 유명한 소설로, 학교 교과서에서도 언급이 되고 여러 영화로도 만들어졌으며 요즘 현실에도 많이 인용이 되는 소설이기도 하지요. 그렇지만 이 책을 읽어본 사람은 얼마나 될까요? 솔직히 저도 어렸을 때 문고판으로만 읽고 커서는 읽어보지 않아서 막상 이 책을 들고 600페이지가 넘는 분량임을 알고는 깜짝 놀랐습니다.

 

이 책은 '사익스는 도둑놈이다. 페이긴은 장물아비다. 소년들은 소매치기다. 여자애는 창녀다.'는 서문으로 시작합니다. 주인공 올리버는 산업혁명이 일어난 1830년대 영국 북부지역의 빈민구제소에서 고아로 태어난 후 신빈민구제법에 의해 빈민구제소 인근 고아원으로 보내집니다. 고아원은 시설이 열악하고 아이들로 바글바글한대요. 이곳은 겉으론 보호시설이지만 사실 아이들의 노동력을 착취하는 곳으로 중노동의 대가로 아이들에게 제공되는 것이라곤 멀건 죽 한 그릇뿐이죠. 올리버는 추위와 굶주림에 '죽을 더 달라'고 요구하다가 호된 매질과 구금을 당하고 고아원에서 쫓겨나 장의사 소어베리의 도제로 팔려 갑니다. 

 

그곳은 감독관과 연결돼 있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잘못을 하면 가혹한 벌을 받는 가혹한 생활에서 벗어나기 위해 올리버는 무작정 런던으로 도망갑니다. 천신만고 끝에 런던에 도착한 올리버는 빈민굴 아이들에게 소매치기를 시키는 패긴을 만나는데, 어느 날 올리버와 함께 있던 아이들이 서점에서 책을 보는 신사의 주머니에서 손수건을 소매치기합니다. 미처 도망가지 못한 올리버는 범인으로 지목돼 경찰에 붙잡히지만 친절한 브라운 로우의 도움으로 풀려납니다. 그 후 파란 많은 인생여정을 거쳐 메일리 부인과 로즈, 의사 로스번의 도움을 받아 자신의 신분을 되찾고 또 행복을 찾는 해피엔딩의 결말입니다.

 

이 소설의 발표 당시 영국은 방적기, 증기기관, 철도 등으로 대변되는 산업혁명이 일어난 시기이자 초기 자본주의사회의 태동기입니다. 자유주의와 물질만능주의가 지배하는 시대로 자본가 계층은 노동자의 희생을 발판으로 부를 축적하며 자본주의의 안락을 누리고 있습니다. 반면 없는 사람들은 아무런 사회적 보호막이 없이 불평등과 학대 그리고 사회적 무관심 등으로 고통을 받는 시대였습니다. 특히 이 소설이 발표되기 몇 해 전에 신빈민구제법이 시행됐었는데, 노동력이 없는 빈민과 아동에게 기초생활을 보장하여 빈민을 보호한다는 이 법의 취지와 달리 실제는 빈민들을 강제 수용해 노동력을 착취하는 제도로 악용됩니다.

 

이 책은 이러한 사회적 배경을 그대로 담아 산업혁명과 초기 자본주의 태동 과정에서 생겨난 사회비리, 비인간화를 처절하리만큼 상세히 묘사하고 있습니다. 이미 대강의 내용을 알고 있는 소설이었지만, 생생한 묘사에 빠져 600페이지라는 분량을 잊을 만큼 재미있게 읽어 내려갔습니다. 아직 못 읽어 보신 분들이라면 일독을 권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