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십, 중용이 필요한 시간 - 기울지도 치우치지도 않는 인생을 만나다 ㅣ 내 인생의 사서四書
신정근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12월
평점 :
우리는 어떤 일에 있어 의견이 한 쪽으로만 치우칠 때, 흔히 중용이 필요하다는 말을 하곤 합니다. 여기서 ‘중용’이 공자의 손자인 자사의 저작이며 사서의 하나이며 동양철학의 중요한 개념을 담고 있는 책의 제목이라는 것을 대부분 알고 있지만, 실제 이 책을 읽어 본 사람은 별로 없는 듯합니다. 솔직히 저도 중용을 아직까지 읽어보지 못했습니다.
이 책은 중용을 읽어보지는 못했지만 읽어보고 싶은 저 같은 사람을 위해서 쉽게 풀어 쓴 중용 가이드라 하겠습니다. 사실 이 책을 쓴 성균관대학교 유학대 교수인 저자는 이미 국내 베스트셀러로 동양철학 대중화에 기여한 '마흔, 논어를 읽어야 할 시간'을 펴낸 적이 있습니다. 이 책은 그 2탄이라 하겠습니다. 이 책의 제목 그대로 '오십'의 나이에 걸맞은 '중용'의 지혜를 전해 주는 책입니다.
중용[中庸]이라는 책 제목의 의미는 ‘中’이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다는 것, ‘庸’이란 평상(平常)을 뜻한다고 합니다. 즉 인간의 본성은 천부적인 것이기 때문에 인간은 그 본성을 따르지 않으면 안 되며, 이러한 본성을 좇아 행동하는 것이 인간의 도(道)이며, 도를 닦기 위해서는 궁리(窮理)가 필요한데, 이 궁리를 교(敎)라고 한다. ‘중용’은 요컨대 이 궁리를 연구한 책입니다.
저자는 ‘대학(大學)’,‘논어(論語)’ 그리고 ‘맹자(孟子)’와 함께 중국 철학의 '사서(四書)' 가운데 하나인 중용을 모두 60가지 주제로 나눠 원문의 정확한 풀이와 일상생활의 해당 상황에 응용할 수 있는 해석을 함께 담고 있습니다. 이 책은 중용 전문을 순서대로 따라가기보다는 주제별로 '극단', '발각', '곤란', '단순', '중심', '균형', '중용', 진실', '정직', 효성', '감응', 포용' 등 12강으로 재분류해 사서 가운데서도 어렵기로 정평이 난 '중용'을 되도록 알기 쉽게 설명합니다.
저자에 따르면 '중용'은 전국시대에 이르러 반대파를 향해 죽음으로 보복을 실천하는 자객이 '용자(勇者)'로 추앙되고 사소한 논리적 허점을 파고들어 진위를 뒤바꾸는 궤변이 달변으로 환호를 받던 극단과 극혐, 극호의 시대에 삶의 중심을 잡고자 제시되었다고 합니다.
이 책에서 가장 인상적인 내용은 9장 ‘정직진실을 삶의 틀로 담아내라’의 45편 ‘노력남이 열 번에 성공하면 나는 천 번을 한다’의 ‘인십기천’입니다. 중용에서는 주위 사람이 한 번 해서 성공하면 나는 백 번 시도하고 주위 사람이 열 번 해서 성공하면 나는 천 번을 하라고 제안하고 있습니다. 숫자로 보면 주위 사람보다 적어도 백배 이상의 노력을 하라는 말인데, 백배는 단순히 횟수나 양이 아니라 무슨 일이든 내게 익숙해져서 내 것이 되는 시간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이렇게 사람마다 도달하는 시간이 다르니 일찍 이루는 남과 비교해서 서둘러 포기하지 말고 내게 맞는 시간과 길을 찾으라는 것으로 빠르게 도전하고 또 쉽게 좌절하는 요즘 시절에 꼭 필요한 경구라 하겠습니다. 이 책에는 어느 하나 빼놓을 수 없는 60가지 주옥같은 경구들로 가득 차 있어서 곁에 두고두고 읽을 만한 책이라 생각합니다. 저자는 사서 가운데 남은 '대학'과 '맹자'도 순차적으로 펴낼 계획이라는데 이 책도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