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트, 아웃사이더의 심리학
다니엘 스미스 지음, 김현경 옮김 / 마리서사(마리書舍) / 2019년 7월
평점 :
절판


프로이트라는 제목 옆에 달린 이 책의 부제가 독특했습니다. 아웃사이드의 심리학이라니 우리가 알던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을 말하는 것인지 궁금했습니다. 저자는 프로이트가 늘 아웃사이더라는 느낌을 받았는데, 그 느낌은 빈에서 그가 살았던 사회 안에서 시작되었으며 거기에는 두 가지 주요 원인이 있었다고 지적합니다.

 

먼저 경제적인 이유로 프로이트의 유년기에 가족은 매우 부유한 동네들이 즐비한 도시의 가난한 구역에 살면서 거의 언제나 재정적인 어려움을 겪다 보니, 부와 권력을 가진 사람들과 지척에 살면서도 그들의 세계에 발을 들여놓지 못하고 그저 들여다볼 수밖에 없었다고 합니다.

 

다음으로는 유대인이라는 그의 배경으로 19세기 후반 유럽에서는 반유대주의가 고조되고 있었고 프로이트가 살던 빈에는 이미 반유대주의가 만연했습니다. 특히 그의 나이 12세 때 아버지가 수년 전에 반유대주의자들에게서 공격을 받은 이야기를 들려주었는데, 이 일은 그의 유년기에 한 획을 긋는 결정적인 순간이 되었다고 합니다. 그 일로 누군가는 다른 사람이 유대계라는 이유만으로 이런 식으로 대해도 된다고 생각하는 부당함을 더욱 절실히 인식하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어렸을 때부터 늘 아웃사이더라는 느낌을 지녔던 프로이트는 이를 통해 인생에서 성공하려면 자신의 방식대로 해야만 한다는 점에 강한 확신을 갖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렇게 프로이트는 탐구의 여정에서 기존의 사고방식에 구애받지도 않고 비판에도 얽매이지 않는 아웃사이드의 시각과 방식으로 당대의 사회가 받아들인 아이디어들을 과감하게 비평하고 진정으로 ‘기괴한’ 사고방식을 실험했다고 합니다.

 

아마 프로이트라는 이름은 누구나 한 번쯤은 들어보았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의 사상을 잘 알고 있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저도 프로이트에 관심이 있어서 예전에 <꿈의 해석>과 같은 책을 읽어 보았으나 지금은 머릿속에 별로 남아 있는 게 없습니다. 그래서 프로이트의 심리학을 어렵게 생각했는데, 이 책이 쉽게 프로이트 심리학을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특히 아웃사이더의 심리학이 무엇일지 흥미로웠습니다. 이 책은 프로이트 생애의 주요한 사건들을 짚어가며, 왜 프로이트가 아웃사이드로서 새로운 심리학 영역을 창안하게 되었는지 등 여전히 수많은 수수께끼에 싸인 한 천재를 깊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 책을 통해서 프로이트 심리학을 제대로 배워보려는 분들이 읽어보시면 좋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