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타이탄 - 실리콘밸리 거물들은 왜 우주에서 미래를 찾는가
크리스천 데이븐포트 지음, 한정훈 옮김 / 리더스북 / 2019년 7월
평점 :
이 책의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페이팔·테슬라로 실리콘밸리 성공 신화의 주인공이 된 일론 머스크, 전 세계 유통·물류 시스템을 장악한 ‘아마존 제국의 황제’ 제프 베이조스, 빌 게이츠와 함께 마이크로소프트 왕국을 세운 폴 앨런. 독특하고 기발한 홍보 전략의 달인으로 꼽히는 버진그룹 회장 리처드 브랜슨 등에게는 한 가지 공통점이 있습니다. ‘본업’과 무관한 우주개발에 몰두하고 있다는 점이죠. 이 책은 한마디로 이들이 왜 우주개발에 몰두하는지 그리고 그 결과는 어떠한 지를 꼼꼼하게 파헤치는 책입니다.
그렇다면 이들은 어마어마한 돈과 시간을 들여서 우주개발에 몰두할까요? 저자는 이들에게 우주가 새로운 플랫폼으로 여겨지고 있다고 지적합니다. 인터넷과 스마트폰이 그랬듯 저렴한 비용으로 무궁무진하게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인류의 미래를 크게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죠. 그 플랫폼은 통신망으로도 운송네트워크로도 사용될 수 있는데, 저렴하게 먼저 선점하는 순간 이동통신이든 중공업이든 지구 안 밖의 인프라를 손에 쥘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개발과정과 현재까지의 결과는 어떨까요? 이 분야 선두 주자인 머스크가 민간업체인 ‘스페이스X’를 세우고 우주 개발에 뛰어들 당시 NASA는 비교가 되지 않을만큼 절대적인 지위에 있었습니다. 민간업체 선정 역시 인맥으로 좌우되어서, NASA가 수의계약으로 파트너를 선정하자 머스크는 NASA에 소송을 걸고 승소해서 경쟁 입찰에 참여할 수 있었습니다.
이렇듯 머스크가 거침없이 싸우며 나아갈 때 머스크의 최대 라이벌이라 할 베이조스는 아무도 모르게 ‘블루오리진’을 세우고 아주 천천히 진행합니다. 이 책에는 리처드 브랜슨, 폴 앨런 등 수많은 인물들이 등장하지만, 사실 거침없는 토끼와 같은 머스크와 거북이처럼 조용히 움직이는 베이조스가 목숨을 건 시험 비행과 여러 차례 로켓 폭발 등을 거치면서 10년 넘게 벌이는 치열한 물밑 경쟁이 주요 내용이라고 하겠습니다. ‘워싱턴 포스트’에서 우주·방위 산업을 담당하는 기자인 저자는 이들의 멈추지 않는 도전과 성공 그리고 경쟁을 실감나는 이야기 식으로 구성해서, 마치 소설을 읽는 것처럼 흥미진진하고 재미나게 읽을 수 있습니다.
미국에서 2018년 출간된 이 책에는 실려 있지 않지만, 여러 난관을 거쳐 올해 5월 머스크가 이끄는 스페이스X는 초고속 인터넷용 위성 60기를 한꺼번에 발사하는 것에 성공했습니다. 또 바로 얼마 전인 2019년 7월 25일 캡슐형 우주선인 드래곤캡슐을 국제우주정거장에 보낼 화물을 싣고 재사용이 가능한 팰콘9 로켓에 탑재하여, 국제우주정거장(ISS)을 향해 쏘아 올리는 데 성공하였습니다.
나아가 머스크는 2023년 민간인을 태우고 달을 탐사하겠다는 계획을 밝히고 있죠. 베이조스가 설립한 블루오리진 역시 자사 달 착륙 우주선 ‘블루문’을 얼마 전 공개했고, 리처드 브랜슨의 버진 갤럭틱에서 제작한 우주선 ‘스페이스 2’는 지난 2월 모하비 사막에서 탑승객 1명을 태우고 90㎞ 상공까지 올라갔다가 귀환했습니다.
그동안 실리콘 밸리의 거물들이 우주에 대해서 투자한다는 것을 뉴스로만 접하고 조금 의아하게 생각했던 것이 사실입니다. 이 책을 통해서 이들이 우주에 주목하는 이유와 현실에 대해서 확실하게 배울 수 있었습니다. 우주와 우주개발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라면 특히 좋아하실 책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