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충격, 생성형 AI와 교육의 미래 - 알파 세대, 교육자가 알아야 할 최소한의 AI 리터러시
김용성 지음 / 프리렉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GPT 충격, 생성형 AI와 교육의 미래

 

GPT의 교육적 활용과 앞으로의 무한한 가능성 때문에 챗GPT에 관해 알아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었다. 그래서 몇몇 책을 살펴보고 기사도 찾아보면서 챗GPT를 교육에 활용하기 위한 팁을 얻고 싶다는 생각이 있었는데 기초적인 미디어 역량이 부족해서인지 쉽게 관련 텍스트가 읽히지 않았다. 변화는 시작되었지만 아직 나에게는 먼 이야기, 교육에 접목되기 위해서는 조금 더 시간이 걸릴 것 같다는 생각에 솔직히 처음의 열정과 흥미가 식기 시작했다. 기존에 사용하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수업을 준비하는 것 또한 시대에 크게 뒤처지지 않는다는 자기 위안으로 큰 변화 없이 수업을 만들어 가고 있었다. 그러면서도 혹시 나의 수업에 있어서 그리고 학생들에게 다가 올 미래를 준비할 소중한 시간을 놓치고 있는 건 아닐까?라는 불안감을 떨칠 수 없었다. 그 때 만난 책이 바로 GPT 충격, 생성형 AI와 교육의 미래라는 책이었다. 14년간 학교 교육 현장에서 느낀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실질적이고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사례 중심의 책이라서 더 흥미롭게 읽게 되었다.

 

1. 생성형 AI 시대가 왔다

첫 번째 장에서는 우리가 살아갈 미래에 펼쳐질 생성형 AI시대의 거부할 수 없는 흐름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다. 메타버스처럼 잠시 유행하고 사라질 이슈가 아니라 AI 시대에서 우리에게 꼭 필요한 도구로서 어떻게 사용되어질 것이며 앞으로 어떠한 모습으로 발전해 나갈 것이라는 청사진을 제시하고 있다. 변화의 변곡점으로서 우리가 AI를 교육, 산업생태계에 적용하지 못한다면 우리는 앞으로 많은 기회를 놓치게 될 것이며 생산자가 아니라 소비자로서만 살아갈 수 밖에 없에 될 것이다.

 

2. 교실에 난입한 생성형 AI, 창조자인가 파괴자인가?

생성형 AI에 관한 두 가지 견해에 관해 이야기한다. 부정적인 입장과, 긍정적인 입장. 어떤 부분에 관점을 가지고 있어야 할까? 인터넷의 단점 때문에 인터넷을 쓰지 않고 조사활동을 할 수 있을까? 물론 책만 찾아서 조사학습을 할 수도 있다. 그러나 풍부한 자원을 두고 한정된 자원으로 조사한 자료에서 우리는 양질의 결과물을 만들어 내고 경쟁할 수 있을까? 슬픈 상상이지만 앞으로 AI를 사용하지 않는 학습자와 교수자의 미래는 더욱 암울할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윤리적인 문제, 표절에 관한 합의가 전제된다면 AI는 우리의 놀라운 경쟁력이 될 것이다.

 

3. 4. 5장은 실제적으로 수업에 AI를 적용한 사례와 방법에 관한 내용으로 교육현장에 바로 적용할 수 있어서 수업을 만드는 교사의 입장에서 더욱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론적으로 꼭 필요하다는 것과 기본적인 사용 방법을 익혔지만 어떻게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 자료가 늘 부족해서 아쉬웠는데 그런 부분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해주고 있어서 당장 수업에 적용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6. 생성형 AI와 우리 교육의 미래

앞으로 AI를 활용해서 우리 교육이 변화될 것이며 교사로서 어떤 마음가짐을 지녀야 하는지에 관해 이야기 한다. 교사는 게으름 없이 시대의 변화와 흐름을 인식하고 자라나는 아이들이 보다 쉽게 미래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되어야 한다는 내용이 인상적이었다. 인성만 뛰어난 의사에게 우리가 수술을 맡기지 않듯이 인성적으로 뛰어나야 하는 것은 교사의 기본이며 변화하는 시대를 살아갈 수 있는 지적으로 충만한(AI 분야 등) 교사가 되어야 할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습관적으로, 보다 쉬운 방법으로 수업에 대한 고민을 하지 않았는지 생각해 보게 된다. 모든 문제의 근원과 현상의 원인을 잘게 쪼개서 찾아 들어가면 마지막에는 교육이 남는다고 한다. 변화하는 시대의 흐름을 누구 보다 빠르게 인식해야 할 교사로서의 책임을 미루어 두고 지금까지 해 왔던 방법에 익숙했던 나를 돌아본다. 나의 작은 변화가 아이들을 얼마나 크게 성장시킬지에 대한 고민으로 조금 더 가슴설레는 아침을 맞고 싶다. 그 변화의 중심에 내가, 우리가 있기를 기대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