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런 어른 - 어쩌다 그런 어른은 되고 싶지 않다
김자옥 지음 / 북스고 / 2021년 6월
평점 :
어른이 되니 아이때보다 정직하게 살기 어렵더군요 바라던 어른의 모습에서 멀어지는 자신을 바로 할 수 있는 내용을 기대했습니다

어린 아이가 자살하려는 사람이 있다면 죽을 용기로 살라는 게 맞을까 그 사람의 선택이니 죽게 두는게 맞을까하는 질문을 던집니다. 어른도 답하기 쉽지않은 질문이에요. 아이도 사는 게 힘들다니 어른이라고 모든 정답을 아는 것도 아니고 이젠 가르치기보다 함께 고민해야하는 시대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해요.
죽어본 적도 없고 이 고비만 넘기면 바로 뒤에 행복이 기다리고 있을 수도 있는데. 그건 누구도 모르는 일이잖아. 게다가 힘들다는 건 정말로 생각하기 나름이라 생각을 조금만 바꿔도 당장 죽을 것 같다가도 해볼 만한 일이 되는데. 이런 모든 가능성을 다 무시하고 그래도 죽음을 택하겠다면 그걸 누가 어떻게 말리겠어. 근데 한 가지 생각할 건 그 선택은 분명 아쉬움이 많이 남는 선택일 거라는 거야.p.48

아이 앞에선 찬물도 함부로 못 마신다는 말이 있죠. 무의식중에 나쁜 말을 하거나 남을 험담하기도 합니다. 아이는 부모의 감정을 그대로 받아들여 그 상대를 무례하게 대할 수도 있어요.
아이까지 거들며 욕할 만한 사람은 더욱 아니었다.
내가 아이 앞에서 얼마나 험담을 많이 했으면 아이까지 이런 말을 할까.
나중에 부모가 되면 절대 하지 말아야지 하는 몇 가지가 있었다. 그중 하나가 아이 앞에서 남 혐함하지 않기였다. 험담하는 자체가 좋은 것이 아니고 험담을 많이 하다보면 사람이 부정적으로 변한다. 험담은 누군가의 장점조차 단점으로 만드는 강력한 힘을 갖고 있다. p.111

어른이 되는 과정 속에서 이따금 행복에 대한 의심이 든다. 행복 하나면 충분할 만큼 사람의 감정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 행복하면 끝이라고 할 만큼 행복은 그렇게 강력하지도 그 순간이 그렇게 길지도 않다. 오죽하면 행복은 찾는 것이 아니라 만드는 것이라고도 할까. p.179

매일 행복한 건 아니지만 나름대로 의미있는 하루를 살고 있으면 되는 거 아닌가 하네요. 이 책은 내가 말하는 답은 이거야 하고 던져놓기보다 이런 생각이 있다고 넌지시 말해주는 듯해요. 아이와 나눈 대화라든가 일상에서 벌어진 일을 다루고 있어서 더 와닿는 부분이 많아요.
* 이 리뷰는 네이버 이북카페를 통해 출판사 서평단에 선정되어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