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복 최고의 약
아오키 아츠시 지음, 이주관 외 옮김 / 청홍(지상사) / 201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과식을 하면 속이 더부룩하고 오랫동안 불편해요. 잠을 줄여 활동하는 시간이 많아야한다고 생각했는데 [공복 최고의 약]에선 수면 8시간 + 공복 8시간으로 암과 치매 당뇨도 예방하는 노화방지 비법을 알려준다고 되어 있어요. 노벨생리학 의학상 근거를 한 내용이라니 기대되었습니다.
우리가 1일 3식을 하는 자체가 이미 과식이라고 합니다. 필요 이상의 칼로리를 섭취하고 있는 상태이니 공복으로 몸을 리셋해야한다고 해요.
식사를 한 후 피로하고 나른함을 느끼는 사람은 위장을 비롯한 내장이 쇠약해져 무리없이 소화할 수 있는 양 이상의 식사를 한 경우라고 합니다. 위장은 매일 한계 상태에서 일하기때문에 피로가 누적되어 소화 능력이 떨어져있는 상태구요.p.38 .

식후 만성적인 졸음은 혈당치가 오르고 있다는 증거로 밥, 면, 빵이나 단맛을 지나치게 섭취한 경우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혈당치 변화가 심한 상태가 지속되면 고혈압과 당뇨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마지막으로 음식을 먹고나서 16시간 정도가 지나면 자가포식이 활성화됩니다. 자가포식은 오래된 세포를 내부로부터 다시 세롭게 만들어 내는 구조를 말합니다. 공복은 세포가 다시 태어나는 스위치가 되고 내장을 쉬게하고 지방을 감소시키고 혈액상태를 개선하고 자가포식으로 인한 세포의 재탄생 효과를 누릴 수 있게 합니다.
무얼 먹든 상관없고 공복 중이라도 견과류 정도는 괜찮다고 해요. 견과류는 자가포식을 활성화하는데에 도움이 됩니다. 견과류를 싫어하거나 먹을 수 없는 체질은 샐러드나 치즈, 인공감미료가 없는 음료수도 괜찮아요. p.106

16시간의 공복 시간에 6-8시간의 수면을 할애하면 깨어서 공복인 시간은 8-10시간 정도면 됩니다. 6시 기상하여 10시 아침식사, 18시 저녁식사를 하는 경우엔 22시 취침으로 맞추는 편이 좋습니다. 이 패턴은 생체리듬에 맞고 몸에 부담이 적고 노화와 질병 예방에 도움됩니다. 매일이 어렵다면 토요일 하루라도 16시간 공복하거나 24시간 공복에 도전해도 좋아요. p.111
밥 한 공기에 이미 스틱 설탕 17개 분량의 당분이 들어있고 현대인은 당질을 과다섭취하고 있습니다. 성인에겐 하루 170g의 당질이 필요하고 당질 제한을 한 경우 근육량 감소를 초래할 수 있어요. 젊은 사람, 과다 비만을 제외하고 고령자는 당질 기피를 주의해야할 경우입니다.p.155

치매와 알츠하이머도 영향이 있다니 공복의 필요성과 그 영향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어요. 주의 사항도 있고 실천방향도 제시해서 그리 어렵지않게 해볼 수 있을듯합니다. 스트레스를 먹는 걸로 풀던 생활을 바꿔 간단히 공복만으로 다이어트하고 효과도 높다니 좋습니다.
*예스24 리뷰어클럽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