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너무 어려운 나에게
가토 다이조 지음, 박선형 옮김 / 북아지트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인간은 과거와 상상에 영향을 받는다.


집의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과 바깥에서 우연히 사물에 비친 자신의 모습은 달라보여요. 바깥에서 본 모습은 어색하고 어정쩡해서 남들에게는 어떻게 보일지 은근 신경쓰입니다. 『사람이 너무 어려운 나에게』는 자신의 아름다움을 바라보고 매력이 무엇인지 깨닫도록 하여 나를 단단히 지키는 방법을 알려준다니 기대되었습니다.

   


실제로 살아가는데 설령 행복이 가장 중요한 문제가 아닐지라도 행복하게 만드는 소질이 있는 사람들이 있고 그러한 소질이 무엇인지를 아는 것은 우리에게는 매주 중요하다 

특별히 운이 좋지 않아도 행복한 사람이 있고 반대로 최적의 환경이 갖추어져 있음에도 불행한 사람이 있다. P.14-15


저자는 자신을 행복하게 만드는 소질을 가지지 못한 사람이 행복해지기 쉬운 체질로 바뀌도록 도와준다고 말합니다.

자기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지 못하고 다른 이상에 맞춰 그에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건 잘못된 일이라고 일침합니다. 타인의 시선에 지나치게 신경쓰는 사람은 실패를 더 두려워한다고도 해요. 


'나는 반드시 성공할 것이다'라는 확신이 있다가 정작 실패하더라도 '나는 여전히 사랑받을 가치가 있다'고 생각할 수 있어야 한다. 

실패를 통해 불행해지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오히려 마음이 단단해지고 지혜로워져서 결국 행복해지는 사람도 있다. P.38


모두에게 사랑받는 것은 아무에게 사랑받는 것이 아니다. P.47


성공한 사람의 70%가 자신이 누군가를 속여서 성공한 것과 같은 꺼림칙한 느낌으로 자신이 사기꾼이라는 생각을 떨쳐버릴 수 없는 것처럼 떳떳하지 못한 자아로 인해 괴로워하는 사람들의 심리를 의미하는 위명 현상을 겪는다고 합니다. P.124



자신이 할 수 있는 것을 열심히 하고 말보다 행동으로 최선을 다해 노력한다면 얼마든지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도 충분히 멋있고 사랑받을 수 있다. 

지금 내 모습으로도 괜찮다는 말은 노력도 발전도 없이 멋대로 사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P.224


인생은 의무가 아니며 행복은 부담이 아니다. P.228


자신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면 타인도 제대로 볼 수 없어 진심을 알지 못한다고 합니다. 상대에게 속을 수도 있고요.  

허세도 억지도 없이 자연스럽게 스스로에게 익숙해지니 저절로 다른 사람도 나를 인정하게 된다고 합니다. 자신을 긍정하고 자연스러워지기가 매력을 찾아내는 첫걸음이네요. 

이 책은 서문부터 끝까지 버릴 것없이 좋고 유익한 말들로 가득합니다. 특히 소제목이 핵심을 잘 압축하여 나타냅니다. 마음속에서 모호했던 생각들도 깔끔하게 정의내리고 간단하게 해결책을 제시해요.


* 이 리뷰는 예스24 리뷰어클럽을 통해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