컵라면에도 알고리즘이 필요하다고? - 세상을 바꾼 과학 용어 사전 반갑다 과학 4
김용관.이창우 지음 / 사계절 / 202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제목을 처음 봤을 때부터 궁금했어요.

“컵라면에도 알고리즘이 필요하다고?”

이게 대체 무슨 말일까 싶었는데, 알고 보니 우리의 일상 속에서 늘 쓰면서도 정확한 의미를 모르고 지나치는 과학 용어 35가지를 친근하게 풀어주는 책이더라고요.

책을 받아 들고 가장 먼저 반응한 건 아이였어요.

컵라면을 워낙 좋아하다 보니,

제목만 보고 처음엔 컵라면 만들기 동화라고 생각한 모양이더라고요.

막상 책을 펼쳐보고는 “어? 과학 책이네?” 하는 표정보다,

생각보다 어렵지 않아서 금방 재미있는 부분을 찾아 읽어내려가는 모습이 엄마 입장에서는 더 기뻤어요.


 


일상에서 궁금했던 것들, 이렇게 재밌게 풀어낼 수 있다니

책은 단위·측정, 시간·공간, 자연, 기술, 우주 분야로 나뉘어 있어요.

우리 생활 속에서 자주 듣지만 막상 설명하라면 막막한 말들—

예를 들면 미터, 섭씨, 음력, 알고리즘, 반도체, 블랙홀, 평행 우주 같은 것들이요.

아이도 책을 넘기다가 “아, 이런 말들 내가 늘 듣던 건데…”라고 느끼는 듯했어요.

어렵게 느껴지는 용어도, 네 컷 만화와 핵심 정리 박스 덕분에 부담 없이 쏙 들어와요.

엄마인 저도 같이 보면서 ‘아, 이렇게 설명하면 정말 쉽겠다’ 하고 무릎을 치게 되더라고요.



 

컵라면 하나에도 과학이 숨어 있다?

특히 재미있었던 건 ‘알고리즘’ 부분이었어요.

우리가 흔히 온라인 추천 시스템을 떠올리지만,

사실은 어떤 일을 해결하는 절차와 방법이라는 기본 개념에서 출발한다는 사실!

그래서 컵라면을 맛있게 조리하는 과정도 알고리즘이 될 수 있다는 설명이 너무 친근했어요.

컵라면을 좋아하는 아이가 이 부분을 읽고 나서는

“내가 만드는 순서도 알고리즘이래!” 하는 느낌으로 즐겁게 책을 넘기더라고요.

표현은 하지 않아도 ‘내가 아는 세계와 연결된다’는 기쁨이 얼굴에 가득했어요.



 

과학이 멀게 느껴졌던 아이도 부담 없이 읽는 구성

대부분의 용어가 아이에게 낯설법한데

책 속 설명은 굉장히 생활에 밀착되어 있어서

읽다 보면 어렵다는 생각이 자연스럽게 사라져요.

예를 들면

  • 왜 1시간은 60분인지,

  • 왜 음력과 양력이 다른지,

  • 박테리아와 바이러스의 차이는 무엇인지,

  • 왜 세계 지도는 실제 크기와 다르게 보이는지,

  • 평행 우주는 과학적으로 어떻게 설명되는지…

이런 질문들은 아이뿐 아니라 사실 어른인 저도 궁금했던 부분이거든요.

책 한 권으로 호기심이 여러 방향으로 동시에 확장되는 느낌이었어요.



 

선아가 느낀 점 한 줄: 어렵지 않아서 재밌게 읽힌다

아이에게 어떤 부분이 좋았냐고 조심스레 물어보니,

생각보다 쉽게 설명돼 있어서 계속 읽고 싶다는 느낌이었다고 하더라고요.

엄마가 보기에는 아이가 특히 자연·우주 분야에서 재미를 많이 느낀 듯했어요.

책 속 궁금증을 쫓다 보면 스스로 새로운 질문을 만들어내는 모습도 보여서

이 책이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사고 확장에 좋은 자극이 되는구나 싶었어요.



 

🌍 생활과 연결되는 과학, 그래서 더 재밌어요

책을 읽고 나서는 아이가 주변에서 보이는 것들을 과학적으로 설명해 보려는 모습이 보였어요☺️

컵라면 조리 순서가 알고리즘이 되듯,

우리가 매일 만나는 세상 속에도 과학이 숨어 있다는 사실을 자연스럽게 깨닫게 해준 책이었어요.

“왜?”라는 질문이 “아! 그렇구나!”로 바뀌는 순간들을 함께 경험할 수 있어서 정말 즐거웠답니다✨

읽고 나면 일상의 모든 것이 실험실처럼 느껴지는 책💡

호기심이 다음 호기심을 부르는 과학 탐험서를 찾는다면 꼭 추천하고 싶어요!


#컵라면에도알고리즘이필요하다고 #사계절출판사 #생활속과학 #과학입문서 #과학호기심 #어린이과학도서 #청소년과학책 #과학용어서전 #호기심폭발책 #과학개념쉽게 #일상과학 #과학을재미있게 #과학독서 #초등고학년추천 #과학흥미 #호기심자극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