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으로 이야기를 담아내는 일러스트레이터 청소년들의 진로와 직업 탐색을 위한 잡프러포즈 시리즈 82
이갑규 지음 / 토크쇼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을 때 그림이 있으면 훨씬 더 재미있어요.

특히 어린이책에서는 그림이 빠지면 뭔가 허전하죠.

그림이 글보다 먼저 마음에 와닿을 때가 있으니까요.

우리 집에서도 책을 펼칠 때마다 가장 먼저 보는 건 그림이에요.

그림 속 인물의 표정이나 색감만 봐도 이야기가 느껴지거든요.

그래서 그런지 그림을 잘 그리는 사람들을 보면 늘 부럽더라고요.

저도, 그리고 아이도요. 😊

그림은 단순히 ‘예쁜 그림’ 그 자체가 아니라

‘이야기를 담은 또 하나의 언어’라는 걸 이번 책을 통해 새삼 느꼈어요.



 

🎨 그림으로 소통하는 직업, 일러스트레이터

『그림으로 이야기를 담아내는 일러스트레이터』는

그림을 좋아하는 아이들뿐 아니라,

그림을 통해 세상과 소통하고 싶은 모든 사람에게

꼭 한 번 읽어보길 권하고 싶은 책이에요.

책 속에서는 일러스트레이터가 어떤 일을 하는지,

어떻게 일하고, 어떤 생각으로 그림을 그리는지를 차근차근 들려주고 있어요.


 



단순히 “그림을 그리는 사람”이 아니라,

글과 그림 사이의 다리 역할을 하는 직업이라는 점이 인상 깊었어요.

작가가 쓴 글의 감정을 그림으로 풀어내고,

보는 사람이 공감할 수 있게 만드는 일이니까요.

그림을 통해 보이지 않는 감정, 말하지 못한 이야기를

전달하는 직업이라니, 정말 멋지지 않나요?


 


💡 일러스트레이터의 하루와 노력

책을 읽으며 놀랐던 건,

일러스트레이터의 세계가 생각보다 훨씬 넓다는 거였어요.

그림책뿐 아니라 광고, 포스터, 제품, 웹사이트 등

우리 생활 곳곳에서 그들의 손길이 닿아 있더라고요.

작가 이갑규 선생님은

“의뢰받은 그림이라도 자기만의 해석이 담겨야 한다”고 말해요.

같은 주제라도 작가마다 다른 분위기와 느낌이 나오는 이유죠.

또 “그림책의 그림은 단순한 묘사가 아니라

그림이 스스로 이야기를 만들어야 한다”는 문장이 참 와닿았어요.

예를 들어 ‘아이가 슬펐다’는 문장을 단순히 우는 얼굴로 표현하는 게 아니라,

그림 전체에서 슬픔이 전해지도록 배경과 색감, 구도를 고민하는 것.

이게 바로 일러스트레이터의 진짜 실력이라는 걸 느꼈어요.


🎨 재료의 다양성, 표현의 확장

또 하나 흥미로웠던 부분은 ‘재료의 다양성’이에요.

색연필, 수채화, 오일 파스텔, 아크릴 등

그림 재료마다 표현의 깊이가 달라진다고 해요.

가벼운 느낌을 주고 싶을 땐 수채화,묵직하게 감정을 담고 싶을 땐 오일 파스텔.

이 부분을 읽으며 아이가 “엄마, 그래서 작가님 그림은 다 다른 느낌이구나~”

하며 감탄하더라고요.

작가의 손끝에서 재료가 달라질 때마다

이야기의 결도 달라지는 걸 아이 눈으로 느낀 순간이었어요.


 

🌼 일상에서 찾는 행복과 창작의 힘

책의 마지막에서 가장 마음에 남은 말은

“진짜 행복은 일상에서 느껴야 한다”였어요.

일러스트레이터로서의 삶도 결국 매일의 반복 속에서

즐거움을 발견하는 일이더라고요.

그림을 그리는 일, 그 자체가 즐겁고 의미 있어야

그림에도 따뜻함이 묻어난다는 말이 참 좋았어요.

아이에게도 이런 감정을 꼭 전해주고 싶었어요.

‘결과보다 과정을 즐기는 사람’이 되길 바라는 마음이랄까요.




 

💬 책을 덮으며

이 책을 읽고 나서,‘일러스트레이터’라는 직업이

그림을 잘 그리는 사람을 넘어,세상과 마음을 잇는 따뜻한 다리라는 걸 배웠어요.

그림을 통해 이야기하고,색으로 감정을 표현하며,

작은 한 장의 그림으로 누군가의 하루를 바꾸는 일.

그게 바로 ‘그림으로 이야기를 담아내는 사람’의 힘이었어요.

그림을 잘 못 그리는 저희 모녀지만,

책을 덮을 때쯤엔 ‘나도 한 번 그려볼까?’ 하는 작은 용기가 생겼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