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험! 가위 잡고 한국사 3 (위인 동화책 + 만들기책) - 조선 후기부터 근대 인물 체험! 가위 잡고 한국사 3
토이바오 지음, 류녹수 감수 / 이지스에듀(이지스퍼블리싱) / 201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희 집은 이제 [체험! 가위 잡고 한국사] 시리즈를 “놀이책”이라고 불러요.

그만큼 공부라는 느낌은 없고,

그냥 즐겁게 놀다 보면 한국사가 자연스럽게 쌓이거든요.

1권에서 단군부터 신라를 만나고, 2권에서 고려와 조선 전기를 지나,

드디어 이번에 3권 조선 후기부터 근대 인물까지 만들어 보았답니다👏

1권부터 만든 인물들을 전부 모아서

자그마한 한국사 인물 박물관 차려봐야 겠어요.





 

📖 동화처럼 읽히는 조선 후기~근대 이야기

3권에서는 신사임당, 퇴계 이황, 율곡 이이부터 고종까지,

조선의 후반부와 근대의 큰 변화를 이끈 인물들을 만났어요.

저는 사실 이 부분이 제일 어렵다고 생각했거든요.

사극으로 봐도 복잡하고, 사건이 많아 머릿속이 정리되지 않았던 시기라서요.

그런데 아이랑 책을 읽으면서 다시 보니,

인물 중심으로 정리되니까 훨씬 이해가 쉬웠어요.

예를 들어 이순신 장군 이야기를 읽을 때는

아이도 책장을 덮고 나서 한참 동안 감동이 남아 있었어요.

“죽으려는 자는 살고, 살려는 자는 죽는다”는 말이 아이 머릿속에 깊이 남았던 것 같아요.

그런 걸 보면, 역사 속 인물 이야기가 단순한 과거 이야기가 아니라

아이 마음을 움직이는 삶의 교훈이 될 수 있구나 싶었어요.



 

✂️ 인물 만들기, 이제는 전문가 모드!

1, 2권 때는 종이 오리기와 붙이기가 낯설어 시간이 오래 걸렸는데

3권쯤 되니 아이 손이 정말 빨라졌어요.

칼질, 붙이기, 세우기까지 척척! 이젠 작은 디테일까지 신경 쓰면서 만드니까

“와, 우리 아이가 정말 손재주가 늘었구나” 하고 엄마 마음이 뿌듯했답니다.

무엇보다도 각 인물 밑에 적힌 핵심 키워드 덕분에,

만드는 과정에서 저절로 암기가 돼요.

예를 들어 “허준 = 동의보감”, “정약용 = 실학자” 이런 식으로요.

종이 조각을 붙이면서 “이게 왜 중요한 거지?” 하고 생각하는 순간,

이미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는 거죠✨



 

🎲 주사위 놀이, 온 가족 한국사 보드게임

완성된 인물 인형들을 말로 세우고 주사위를 굴리며 놀다 보면

한국사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머리에 들어와요.

저희 집은 주말 저녁에 다 같이 모여서 보드게임처럼 즐겼는데

아이 혼자 하는 것보다 훨씬 시끌벅적하고 재밌더라고요.

저 같은 역알못 엄마도 게임하다 보니,

“아~ 정조가 수원 화성을 만든 게 이런 의미였구나” 하고 배우게 돼요.

공부라기보다 가족놀이가 되어 버린 거죠.


 


💡 엄마의 주관적인 활용 후기

3권까지 완주하니, 흐름이 딱 잡혔다!

단편적인 사건이 아니라 조선 전기에서 후기,

근대까지 이어지는 큰 흐름을 아이가 잡았어요.

아이의 손이랑 머리가 동시에 자란다

처음보다 훨씬 능숙해진 가위질, 붙이기, 집중력…

그 과정 자체가 아이 성장 기록 같아요.

엄마도 배운다

책 읽고, 만들고, 게임하면서 저도 헷갈리던 부분이 정리됐어요.

아이와 나란히 공부할 수 있어서 행복했어요.



 


 

“우리 아이가 역사와 친구가 되었구나” 하는 마음이 들어요.

처음 한국사 시작할 때 뭘로 할까 고민 많으셨던 분들,

저는 정말 이 시리즈 강추드려요.

놀면서 배워도 이렇게 깊이 남는다는 걸, 이번에 확실히 느꼈거든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