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고 굵은 고전 읽기 - "고전 읽어 주는 남자" 명로진의
명로진 지음 / 비즈니스북스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전문학만큼 크게 마음먹고 읽어야하는 책도 없는 것 같다. 우선 두꺼운 두께라는 외관에서부터 많은 등장인물과 낯선 배경까지 접근하기 어려운 분위기로 계속 읽기를 주저하게 한다. 그런데 이 책은 제목부터 짧고 굵은 고전읽기로 어떻게 그 길고 어렵게 느껴지는 고전을 짧고 굵게 즐길 수 있는지 궁금증을 일으킨다.

이 책은 <논어>, <맹자>부터 시작하여 <변신이야기>, <오디세이야>까지 동서양을 막론하여 사랑받고 또 꼭 읽어야하는 12편의 고전을 소개한다. 각각 20여페이지로 분량은 짧지만 고전을 처음 접하는 사람이 접근하기 쉽고 끝까지 읽을 수 있게 고전의 전체를 훑어보면서도 어떤 식으로 읽어야할지 포인트를 잘 잡아준다.

저자는 고전읽기를 재미있고 즐겁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우선 고전을 읽기 전 <열국지><사기>, 그리스로마신화에 대한 책을 읽기를 권하며 이 책들이 고전을 좀 더 쉽게 이해하게 해 줄 수 있을거라 설명한다. 또한 고전이 쓰여진 배경과 함께 그 시대 뛰어난 이야기꾼인 고전의 저자들과 고전 속 살아숨쉬는 인물들에 대해 재미있게 설명해주어 머릿속에서 고전 속 세계의 밑그림을 그려준다.

이 책에서 좋았던 부분은 저자가 고전 속 인상깊었거나 좋아하는 글을 소개하고 그만의 느낌으로 해설해주는 부분들인데 고전하면 생각되는 많은 한자들과 이해못할 상황들, 헷갈리는 이름들 등등 이렇듯 고전은 예스럽고 어렵다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게 해준다. 또한 고전을 이야기로 쉽게 풀어냄으로서 고전 안에 담긴 지혜에 한결 쉽고 가깝게 접근하게 해준다. 정말 고전읽기를 시작하는 사람들을 위한 안내서라는 문장에 적합한 책이었다

읽으면 읽을수록 저자의 고전에 대한 깊은 이해와 사랑이 느껴진다. 고전에 대한 명쾌한 해설과 함께 책 곳곳에 고전에 대한 저자의 벅찬 감동과 현대적 상황에서 고전을 접목하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이를 통해 고전이 더 흥미진진해짐과 동시에 나도 고전을 읽을 수 있을거라는 용기를 북돋아주는 것 같다.

저자는 고전을 읽으면서 책에 나오는 장면을 상상하며 읽기를 좋아한다고 한다. 나도 언젠가는 그렇게 될 수 있기를 바라며 나의 맨 처음 고전을 골라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