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의 도시
오쿠다 히데오 지음, 양윤옥 옮김 / 은행나무 / 201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오쿠다 히데오를 알게 된 것은 ‘공중그네’를 통해서다. 저마다의 사연을 안고 이라부선생에게 찾아와 삶을 치유받던 그 모습에 재미도 있고 감명도 되어 그때부터 오쿠다 히데오의 책을 찾아 읽게 되었다. 다양한 인간군상과 함께 일본사회에 대해 위트있고도 냉철하게 꼬집던 그가 이번에는 무엇을 이야기할까 궁금함에 다시금 이 책을 들었다.

이 책은 다른 책들보다 크고 두꺼웠는데, 그만큼 주인공도 다섯 사람으로 다른 책보다 많다. 책의 배경은 작은 세 개의 읍의 합병에 탄생한 가상의 ‘유메노시’이다.
지방공무원으로 생활보호수급자를 관리하며 현청에 복귀할 날만을 손꼽아 기다리던 아이하라 도모노리, 지방에서 벗어나 도쿄로 대학갈 것을 꿈꾸던 구보 후미에, 사기판매업을 하던 가토 유야, 이혼하고 혼자살며 쇼핑점에서 보안요원을 하던 호리베 다에코, 시의원이자 폭력배가 연관된 개인사업을 하면서 비서를 애인으로 둔 야마모토 준이치..

이들의 순조로워 보였던 삶은 갑자기 변화가 오면서 서로 보이지 않게 얽히고 꼬이게 된다.
아이하라 도모노리는 생활보호수급자를 찾으러 파칭코에 갔다가 주부 원조교제에 눈뜨게 되고, 구보 후미에는 하교길에 현실과 게임을 혼동하는 사람에게 납치된다. 또한 생활보호수급자인 전처가 맡긴 아이를 돌보게 된 가토 유야, 사이비종교로 인해 쇼핑점을 그만두게 된 호리베 다에코, 산업폐기물 처리시설의 설립으로 시민단체와 부딫치는 야마모토 준이치..

이 책은 다양한 사람들의 삶과 함께 다양한 사회 모습을 보여준다. 시가 커지면서 산업과 상업이 발달하지만 이에 따라 빛과 그림자처럼 좋지 않은 모습도 늘어간다. 큰 도시로 젊은이는 떠나가고 노인과 모자가정의 증가, 외국인 노동자의 증가로 인한 폭력사태의 증가, 정치⋅폭력배의 유착, 취직을 하지 않고 현실-게임을 혼동하며 여학생을 납치한 사람, 사이비종교의 난립과 그들간의 싸움... 오쿠다 히데오는 우리 지역사회의 실정에 대해 냉철한 눈으로 바라본다. 읽으면 읽을수록 유메노시만의 이야기가 아니라 우리의 이야기가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지방자치시대에 사는 우리는 tv를 통해 무리한 사업으로 인해 눈덩이처럼 많아지는 지방시청의 빚과 외국인노동자의 폭력사태 등에 대한 뉴스를 심심찮게 들을 수 있다. ‘유메노시’는 가상의 도시이지만 가상이 아닌 현실인 것이다.

 ‘한다리 건너면 다 아는 사람’이 있다. 예전보단 커진 도시이지만. 한사람의 삶은 서로 모르는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주고받고 있는 것이다. 서로가 연결된 사회에서는 한 사람의 꿈이 없음이 다른사람에게 전해져서 전체 사회의 모습에 영향을 미친다. 사람은 더불어 사는  사회속에서 살고 있으니까.. 그러나 그 반대로 꿈을 가진 사람이 한사람이라도 있다면, 그 꿈을 주변에 나눈다면 그 사회가 변할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본다.

‘꿈의 도시’, 참 내용과는 역적적인 제목이다. 원제목은 ‘無理(무리)’이다. 사전적 의미는 ‘도리나 이치에 맞지 않거나 정도에서 지나치게 벗어남.’이다. 이 사회가 오쿠다 히데오에게는 ‘무리’로 보인 것 같다. 계속 흐리고 눈오고 회색빛을 지닌 ‘유메노시’의 풍경, 꿈이 없는 도시의 풍경을 우리는 알았다. 이 책은 최악의 상황이다. 우리가 사는 도시는 ‘유메노시’가 아니다. 자신의 꿈을 위해 열심히 살아가는 사람들이 주위에 있다. 비록 책의 모습이 우리 사회에 있을지 모르나 변할 희망이 있다. 이 책의 처절함 속에서 희망을 보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