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성적인 당신의 강점에 주목하라 - 내성적인 당신에게 잘 맞는 자기 PR 시크릿
낸시 앤코위츠 지음, 신현정 옮김 / 갈매나무 / 2010년 9월
평점 :
절판


 

  대체로 내성적인 성격의 사람들은 말하는 것보다 듣는 것을 좋아하고, 대화를 주도하기보다 말 걸어주기를 기다리며, 활기에 넘치기보다 조용한 상황을 좋아한다. 그렇기에 사회생활을 하는데 있어 외향적인 사람들보다 잘 못한다는 인식을 주기도 한다. 내성적인 사람들은 살아남기 위해 외향적인 성격인양 행동하기도 한다. 이 책은 내성적인, 내성적인 성향이 강한 사람들에게 자기자신을 잘 알게 하고 내성적인 성격의 좋은 점을 부각시켜 사회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또한 직장에서 주목받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해 쓰여졌다.

  이 책은 <퍼블리셔스 위클리>가 선정한 2009년 최고의 책으로 선정되어 미국에서 큰 반항을 일으키기도 했다. 이 책은 총 7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내성적인 사람들이 자기부정의 말을 지우고 외향적인 사람인 척 하기보다는 내성적인 성격의 숨어있는 강점을 드러내고 그것을 강화하게 도와준다. 또한 직장에서 성공하기 위해 자기PR의 목표를 설정하고 소셜미디어⋅인적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방법, 직장에서의 프레젠테이션 방법, 내성적인 사람의 취업이나 이직시의 면접 방법 등을 내성적인 성격을 가지고 성공한 사람들의 이야기나 빌 클린턴 등 유명인사들의 조언을 바탕으로 구체적이고 쉽게 가르쳐준다.

  체계적으로 연구/조사하기를 잘하고, 언어에 재능이 있으며, 능숙한 탐색자이며, 뛰어난 업무지휘자란 사실은 내성적인 성격을 가졌기 때문에 가능하다. 물론 외향적인 성격을 가진 사람들도 가능하긴 하겠지만 내성적인 사람이 그런 것을 필요로 하는 곳에서는 외향적인 사람들보다 더욱 능률적으로 일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을 통해 내성적인 사람이 일부러 외향적인 사람이 되기보다는 자신의 성격의 강점을 알고 그것을 드러내어 생활하는 것이 외향적인 사람이 되어 생활하는 것보다 쉽고 효율적이며 자신에게도 좋을 것이라 생각이 들었다.

  이 책에서 빌 클린턴이 말했다. “나는 혼자 있는 시간이 필요한 사람입니다. 내가 드리고 싶은 조언은 당신 자신을 안으로부터 끄집어내라는 것입니다. 마치 벽에서 진흙을 꺼내는 것처럼 말이죠. 앞으로 나가세요. 그리고 시도해보세요. 안 되면 될 때까지 계속해보는 겁니다.”

  물론 앞으로 나가는 것에는 용기가 필요하다. 저자인 낸시 앤코위츠도 우연히 빌 클린턴을 만났을 때 금방 말을 걸지 못하고 체계적인 계획을 세워 대화를 청한다. 모든 것에는 처음이 중요하다. 이 책을 읽음으로 내성적인 사람들의 강점 찾기는 시작됐다. 저자가 시키는 대로 자기PR목표를 설정하고 자신에게 긍정적 에너지를 주는 드림팀을 만들고 엘리베이터 스피치를 작성한다면 어느새 사회에서 변화된 자신의 최고의 모습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더불어 내성적인 사람에게 다가가고 싶지만 힘들어하는 외향적인 사람들도 읽으면 내성적인 사람을 이해하기에 좋은 책이 될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