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명적인 은총 아르망 가마슈 경감 시리즈
루이즈 페니 지음, 이동윤 옮김 / 피니스아프리카에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웰컴 백 투 스리 파인즈. 도무지 범상한 살인사건이라고는 일어나지 않은 스리 파인즈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평화로운 마을에서 사람이 죽고, 또 가마슈가 사건을 해결하러 등장.

  가장 어처구니없고 멍청한 방식으로, 마을 사람들이 모두 싫어하는 한 여성이 죽었다.

  수많은 사람들이 지켜보는 앞, 그러니까 컬링 대회에서였다. 그 자리에는 죽은 사람을

  전문으로 담당하는 사진기자까지 있었다. 스틸 라이프, 조용하고도 고요하게 삶은

  흘러가는 것일까, 라는 의문을 던진 전작에서와 같이 이 작품에서도 아이러니는 계속된다.

  우선 제목..제목이 또 그렇다. fatal grace. 크리스마스를 배경으로 한 치명적인 은총이란다.

  은총이 치명적이라니. 그 치명적인 은총을 관통하는 소재가 살인 사건이라니. 그리고

  이 작품에서 반복되는 화두이자 코드가 바로 be calm이다. 사람이 죽고 온 마을이

  뒤숭숭하고 사건은 온갖 미심쩍음 투성이언데, 차분하라고? 진정하라고? 어쩌면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이 냉정을 찾으라고?

 

 

  작품의 서두에서 중점적으로 내 눈길을 끈 사건은 이렇다. 다정하고 섬세해 보이는,

  하지만 명민한 무명화가 클라라가 백화점에서 이 기분나쁜 여성, 그러니까

  살해당한 여자에게서 모욕을 당한다.

  니 작품은 형편없다는, 그야말로 화가에게는 치명적인 모욕이다.

  이 치명적인 모욕을 당한 클라라는 하지만 백화점을 벗어나기도 전에 절실한 구원이자

  은총을 입는다. 나는 니 작품을 사랑한단다, 라는 아름다운 한마디였다. 이 말은

  백화점 앞의 노숙자가 한 말이다. 클라라는 어쩌면 신은 우리에게 찾아온다면

  이런 모습이 아닐까 라고 생각한다.  아니 신이 자신을 위로하러 온 거라고 믿고

  싶어한다. 그리고 이 두 여자가 무관한 듯 죽는다. 한 사람은 클라라에게 치명적인 상처를,

  다른 한 사람은 그녀에게 아름다운 은총을 선물했다. 이 두 죽음의 보고서가 가마슈의

  손에 들어간다. 가마슈는 별개인 것 같은 두 사건을 동시적으로 조사해 나간다.

  그리고 그 유사성을 찾아낸다. 두 사람은 바로.....이 중 한 여자를 죽인 사람은...

 

 

  루이즈 페니라는 저자의 미스터리를 읽는 건 이런 느낌이다. 모닥불이 있어야 한다.

  따듯한 차와 음식도 있으면 좋다. 꼭 필요한 건 따듯함이다. 그런 다음에 들려오는

  건 담담하고도 차분한 목소리, 평화롭게 일상을 이야기해나간다. 일상 속에서 조금씩

  움직임이 일어난다. 무관한 사건들이 서서히 다가온다. 움직임은 살인을 기점으로

  폭발하고, 별개인 듯한 일들은 하나로 얽혀진다. 처음에는 텔레비젼 화면을 돌려보는

  듯한 장면이 이어지지만, 아 꿰어맞추면 하나의 정교한 작품을 이루는 퍼즐 같은

  느낌이라고나 할까. 그것이 이 작가의 놀라움이다. 아무렇지도 않은 일상, 아무

  상관도 없이 각기 진행되어 가는 사건들을 어느 순간 하나로 만들어 우리 앞에

  펼친다. 자, 이거야, 봐. 짠! 좀 헷갈렸지? 이 사람이 범인인가? 그렇다면 좀 시시한데?

  아니었구나, 앗.... !! 마음을 늦추었다가 당기는 작업이 반복된다. 아, 혹시 지금

  이 작가가 우리한테 밀당이라도 하는 건 아닐까? 자, 이쪽으로 와... 아니.. 그쪽

  말고 저쪽...안심시켰다 싶으면, 어느 순간 쾅 하고 뒷통수를 친다. 방심은 금물이다.

  이런 게 사실은 삶이야 라고 말하고 싶었던 걸까. 

  무엇에도 흔들리지 말라고, 방심하지 말라고, 한쪽으로 마음을

  몰아가지 말라고, 조금 더 차분한 시선으로 주변을 돌아보라고.

 

  왜 그 아이는 상처받았 을까, 그녀는 하필이면 왜 거기에 있었을까,

  그녀는 왜 그토록 자신을 위장하려  했을까, 세 사람은 왜 그리도 절실히 뭉쳐 다녔을까.

  무엇을 그렇게도 열심히 보호하려고 했던 걸까. 그리고 다른 한쪽 편에는

  자신이 뭘 그리는지도  모르는 채 치명적인 은총의 장면을 그려가는 화가 클라라가 있다.

   저자가 한 단어 단어 고르며 심어가고, 한 장면 한 장면을 배열하고 글을 펼쳐나가는

  동안, 저자의 분신과도 같은 클라라는 그림을 그린다.   조심스럽고도 사려깊은 붓질.

  그녀가 그리는 작품의 주제는 치명적인 은총 앞에서도  "Be calm" 하라는 건지도 모른다. 

  누구나의 앞에 놓인 삶은 결국은 치명적일 수도 있고, 결국은 은총일 수 있는 것이니까.

  어느날엔가 들었던 "삶은 소중하고도 힘든 거에요" 라는 말처럼, 이 책은 

  그렇게 삶의 두 얼굴을 동시에 우리에게 일깨워주려고 했던 건 아닐까.

  그리고 삶이라는 치명적인 은총 앞에  담담하고 차분한 태도를 유지하라고도. 

  삶을 이야기하는 죽음. 묵묵하면서도 저 깊은  편에 따듯함이 배어 있는 이 소설은 

  서로를 죽이고 또 살리는 어머니와 친구들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누군가에게는 은총이 되고 누군가에게는 상처가 될지 모를 삶이 흘러가는 동안,

  스리 파인즈 마을을 감싸는 세 그루 소나무는  이 모든 사연을 묵묵히 지켜보면서

  이 잊혀진 마을의 기억을 옹이 하나하나에마다 새겨넣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