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묵의 미래 - 2013년 제37회 이상문학상 작품집
김애란 외 지음 / 문학사상사 / 201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기 어김없이 김애란이 있다. 김애란의 나온 소설을 거의 다 읽고

 실제로 저자와의 대화 자리에서 만나기도 했다. 수줍은 듯 재치있는 듯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그녀를 보며, 나도 함께 사인구절에 적힌 문학 만세,

 를 외치고 싶은 기분이었다지.

 

 침묵의 미래는 차치하고(독특한 화자의 설정이 돋보였...다지..) 누가 함부로 해변에서

 불꽃놀이를 하는가, 라는 자선 대표작을 보면서 문득, 문학적 자서전과 두근두근 내

 인생과 함께 김애란에게 있어 부모님이 아름답게 만나고 사랑하고 빛났던 시절의

 의미는 참 두근두근하고 소중한 것이로구나 싶었다. 부모님의 서먹한 뽕치기에서 그녀의

 뻥치기가 시작되었다는 고백도 찰지고, 다감하게 이어지는 편혜영의 "김애란론" 도

 보기 좋았다.

 

당신이 모르는 이야기, 라는 내가 모르는 작가의 작품은 다소 시니컬하고 섬뜩했다.

죽음 바이러스의 화자의 입장에서 진행하는 소설. 역시 죽음에 관한 소재를 다룬, 엄마도

아시다시피가 다소 그로테스크하게 지나가고 편혜영의 밤의 마침 차례. 성폭행이라고

해야 할까, 세간을 한창 떠들썩하게 했던 유아성폭행이라는 주제를 건조하게 덤덤하게

풀어가는 작품이었다.

 

그 다음에는 두 남성작가의 작품 배우가 된 노인과 절반 이상의 하루오가 이어진다.

두 작품은 남성작가가 썼다는 외에도 노인과 하루오라는 다소 특이한 캐릭터를 관찰하는

시점에서 진행된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밖에도 내가 있고, 여자친구가 있고, 노인과 하루오를

중심으로 진행된다는 것. 손홍규는 가족사를 의미심장하게 다룬 작가로 다가왔고 이장욱은

고백의 제왕이라는 작품집 제목을 기억하고 있었는데 들러봐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마지막을 장식하는 두 작품 염승숙의 습과 김이설의 흉몽은 조금 착잡한 기분으로 읽었던

작품이다. 질퍽한 삶. 그런 것들을 떠올리게 하는.

 

 

이렇게 읽는다. 문학의 미래를. 두근두근하는 어떤 것들을. 읽고 싶었다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