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난민 되다 - 미스핏츠, 동아시아 청년 주거 탐사 르포르타주
미스핏츠 지음 / 코난북스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청년주거문제를 공부할 때 한참 많이 읽고 참고한 책이다. 타이완, 홍콩, 일본, 한국 대도시의 청년주거는 닮아있다.


소득에 비해 압도적으로 비싼 월세, 곰팡이가 피고 여름엔 덥고 겨울엔 추운 열악한 주거환경, 대도시에서 살기 위해 어떻게든 버티며 감당하는 주거비를 조사하는 데에서 멈추지 않는다.


이 책은 청년 주거 문제를 바꾸려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단순한 현황 보고서가 아니다. 주거 지옥에서 뭐라도 목소리 내고 싸우는 청년주거운동들. 새로운 주거 모델을 공유하는 공동체들이 곳곳에 있다.


책 속의 주거 운동이 2023년에 어떤 모습일지 궁금하다.

모두 ‘안정적으로 주거를 하려면 집을 사야지!‘라고 이야기하지만 정작 집을 사기란 불가능에 가깝다. 그러면 ‘안정적인 주거‘를 위해서 오래도록 마음 편하게 점유할 수 있는 공간이라도 있어야 하는데 과연 그게 가능해지는 날은 올까. 일단은 지금 머무는 공간, 내가 점유한 공간이 있음에 감사하면서 안정적인 주거 공간이 생길 때까지 1,2년짜리 계약서에 도장을 또 찍고 또 찍을 수밖에 없는 것일까. - P49

그렇지만 서울을 떠날 생각은 없다. ‘기회의 땅‘에서 뭔가를 뽑지 못하고 돌아가는 게 아깝기 때문이다. 번듯한 직장을 잡고 거기서 월급을 받을 때를 기다리며 버틴다. 버티는 이 기간은 터널을 지나는 기간이라고 스스로 위안한다. 그러나 터널은 언제쯤 끝날까. - P264

월세 살다 전세 살다 자가로 옮겨가는 것이 일반적인 때가 있었다. 이를 ‘주거 사다리‘라고 칭한다.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 점점 더 나은 주거 환경으로 옮겨가는 것. 그러나 이제 그 사다리는 끊겼고, 전월세 전환 가속화로 전세로 목돈을 묵혀두는 건 꿈이 됐다. 20대, 30대 임차인의 소비지출 대비 주거비는 33퍼센트에 달한다. - P27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