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판의 날의 거장 열린책들 세계문학 271
레오 페루츠 지음, 신동화 옮김 / 열린책들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괴물은 여기 있습니다."

 

 

 


심판의 날의 거장

레오 페루츠 장편소설 / 신동화 옮김

 

 

 



레오 페루츠 그는 오스트리아 작가이자 독일어권 문학의 거장으로 관념적 주제를 속도감 있게 그려 내는 환상 소설의 대가라 한다. 현실과 환상이 뒤얽힌 기묘한 분위기, 스릴 넘치는 흥미진진한 전개, 치밀한 구성과 예상치 못한 반전, 쉬이 읽히는 간결한 문장은 독자를 매료시켜 책을 손에서 놓지 못하게 한다고 한다. 그래서 당대 독자들에게 굉장한 인기를 끌었다고 한다. 나는 처음 접하는 작가이자 처음 접하는 장르가 아닌가 생각한다.. 그래서 환상소설은 무엇인지 사전적 의미를 찾아봤다. 판타지 소설과는 다른 초자연적인 사건을 쓰되 그 해답을 독자에게 맡기는 것으로 즉, 초자연적 가공세계에서 일어난 사건이나 현실에 있을 수 없는 사건을 소재로 한 문학 작품이라고 한다. 환상문학의 특성으로 '단절과 공포감', '애매성과 의혹'을 들 수 있다고한다. 환상은 그 자체로 일상이란 현실 속에 단절을 만들어 내고 이러한 현실 세계의 느닷없는 단절은 자연스럽게 공포감을 유발시키게 된다. 공포를 유발하는 초자연적 현상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독자는 현상에 대해 어떤 추측만을 할 뿐, 뚜렷한 확신에는 이르지 못한다. 살짝 어려운 감은 있지만 잘 읽어봐야 할 것 같다....

 

심판의 날의 거장의 시작은 자신의 기록으로 시작된다. 즉 사건을 겪은 날의 자신의 경험을 옮겨 놓았다고 한다. 그러면서 진실을 강조한다... 독자로 하여금 믿게끔 하려고 하는 것인가? 그대로 믿으면 나중에 큰 코 당하는데....

이야기는 한 저택에서 두 발의 총성이 울린다. 그리고 유명 궁정 배우 오이겐 비쇼프가 자살을 한 것이다. 그런데 왜? 두발을 총을 쏘았을까? 그런 와중에 그 사건 현장에 있었던 요슈 남작이 범인으로 지목된다. 그 이유는 바로 모두 그에게 비밀을 지켜달라는 것을 발설하였고 그의 아내와 과거에 연인 사이로 아직도 그녀를 가슴에 품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심증만 있을 뿐 물증은 없다. 그래서 그 자리에 함께 있던 사람들은 궁지에 몰린 요슈 남작을 위해서 진실을 찾아가는데... 그의 죽음에는 의문이 들었다. 자살인가? 타살인가? 혼란 속에 진실을 쫓으러 가는데 그 속에서 요슈남작은 이상한 행동을 한다... 진실을 밝히려기보다 피하려는 모습 그리고 그 진실을 쫓다가 발생한 또 다른 두 건의 자살... 그리고 밝혀진 진실....

 

이렇게만 보면 보통 추리소설과 범죄소설과 비슷한 맥락을 가지고 있다. 왜냐하면 사건이 발생하고 그 사건을 쫓아 진실을 파헤쳐 가는 가정이기 때문이다. 무엇이 진실이 쫓아가는 그들은 탐정과도 같았다. 숨 막히는 긴장감과 알 수 없는 범인의 행방... 죽음의 그림자가 그들의 곁에 다가오는 것 정말 흥미진진하여 책을 넘기는 속도는 빨라지고 범인을 추적하기 바빠진다는 사실... 거기에 이상한 행동을 내비치는 요슈 남작까지 그 때문에 범인을 쫓는 행방이 혼란스러워진다는 사실... 작가는 이런 재미로 독자를 끌어들이는 묘한 매력을 발산한다. 그러다가 마지막을 딱 읽고 난 순간!! 난 멍해졌다. 그렇게 숨 막히게 달려왔는데 실상의 범인은? ㅜㅜ

 

그게 끝이 아니라는 사실... 이 소설은 마지막 편자 후기를 꼭 읽어야 한다는 사실... 그 속에 모든 진실이 담겨있다...

소설만 읽고 이 이야기를 다 파악했다 하면 안 돼요... 또한 심판의 날의 거장의 작품은 하나의 간단한 소설로 이루어진 작품이 아니라 액자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사실을 나는 나중에 역자 해설을 통해 알게 되었다. 이야기 속에 이야기가 담겨있다는 사실... 그 큰 비밀은 꼭 읽어보고 파악하기 바란다.... 나에게는 이 소설이 한 번으로 아닌 두 번 세 번 읽으면서 요슈 남작의 심리를 한 번 더 파악해야 할 것 같다. 우리가 느껴보지 못한 가장 무서운 공포는 무엇일까? 그것은 상대가 아닌 내 안에 있다는 사실!! 그걸 알게 되면 당신은 무서운 공포를 경험하게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