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 타는 아이 모든요일그림책 10
최민지 지음 / 모든요일그림책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보통마을에 사는 벽 타는 아이...

보통마을에서는 아이들에게 이상한 능력이 생겨나면 모자성에 가두어버린다. 그래서 엄마와 아빠들은 아이에게 벽을 타는 이상한 능력이 생겨나면 아이를 치료하기 위해 상담사와 치료사를 부른다.

그림책 속에서 '평범한 것이 가장 안전한 것이다' 라는 문구가 무척 인상적이었다.

불과 몇년전만해도 평범하게 사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보편적인 길이었다. 하지만 요즘은 '평범'이라는 기준도 많이 달라진 것 같다. 엄마, 아빠, 자녀2명 이렇게 4인 가족이 다수였던 옛날에 비해 최근에는 1인 가구의 비율이 34.5%로 제일 많고 4인 가구는 15% 정도로 급속히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가구 비율을 보면 우리나라에서 평범하게 사는 것이란 1인 가구로 사는 것이라고 볼 수 도 있지 않을까? ㅜㅜ

평범하다는 것은 무엇일까? 어떻게 사는 것이 평범한 것일까?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평범하게 산다는 것은 '무난하게 대학교까지 졸업하고 직장을 얻고 결혼을 하고 자녀를 낳고 늙어가는 것'일 것이다. 그리고 '평범'하게 살기 위해 애쓰고 조금이라도 평범의 기준에서 어긋나면 조금은 따가운 사회적 시선을 받기도 했다. 하지만 급격한 사회변화 속에서 '평범'이라는 기준이 무척 달라지고 있다는 것을 느낀다. 다양한 형태의 가족의 모습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있고, 정해진 학업의 루트를 따르지 않는 사람들도 있다. 사라지고 있는 직업과 새롭게 생기는 직업 속에서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찾는 사람들도 있다.

앞으로도 점점 더 변화해 나가겠지만...

'평범'하다는 것의 의미가...전통적인 의미의 틀에 박힌 삶의 방향을 따라 가는 것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각자가 다르게 가지고 있는 삶의 태도와 방향이 존중받고 각자의 꿈을 이루어 나가는 것을 서로 응원하는 삶의 모습이 되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