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해질 권리 - 나약한 삶에서 단단한 삶으로
김민후 지음 / 프롬북스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강해질 권리, 나약한 삶에서 단단한 삶으로,

정신과 의사 김민후 지음, 프롬북스


이 책 <강해질 권리>는 그 동안 읽어왔던 자존감, 자기 위안, 위로, 공감능력, 소확행, 파이어족(Financial Independence, Retire Early)에 대하여 기존의 책이나 우리가 알고 있는 내용을 완전히 뒤집는 책이었다. 자존감은 자아존중감, 자기존중감이라고 불린다. 자존감이 낮으면 안된다고 어릴 때부터 자존감이 높은 아이로 키워야한다고 알고 있었고, 나 또한 아이를 자존감 높은 아이로 키우기 위해 노력해 왔다. 혹자는 현재의 상황이 시궁창 같더라도 나은 방향으로 변화를 위해 노력하다 보면 자존감이 높아 질 수도 있다고 말하고 있고, 혹자는 현실 속의 자신을 부정하지 말고, 억지로 변화하려 하지도 말고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받아들이다 보면 자존감을 높일 수 있다고도 한다. 그런데 저자는 자존감이라는 단어 자체를 다시 설명하면서, 자존감을 높이기 위해 추천되는 방법들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만들었다.


자신의 인생이 이렇게 엉망이 된 것은 모두 부모탓으로 돌리며 평생 부모를 원망하고 괴롭히며 사는 부류가 있다.

언젠가 뉴스에서 일본의 많은 젊은이들이 이런 은둔형 외톨이 생활을 하고 있다는 내용을 본 적이 있다. 이들은 어린 시절 부모의 공감능력이 부족한데다 자존감에 트라우마를 입어 그렇게 되었다고 해석한다. 하지만 저자는 이런 식의 조언은 전혀 해결책을 제시해 주시 못한다고 말하고 있다. 술이나 마약을 하는 동안은 세상의 걱정과 근심을 잊을 수 있으므로 알코올 중독, 마약 중독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것과 은둔형 외톨이가 똑같은 것이라는 저자의 설명에 적잖이 충격을 받았다. 남에게 모든 것을 의존하는 은둔형 외톨이는 집에 머무르며 일하지 않고, 부모의 돈으로 생활하는 등 게으른 생활을 하는데, 이들의 생활이 대한히 안락하고 중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벗어나기 힘들기 때문이라는 저자의 설명에 이해가 되었다. 지금 이 상태가 편하고, 지금 그대로의 나를 사랑하는 것이 만족스럽다면 나태하고, 나약하게 살아가는 무책임한 자신 또한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사랑할 수 있게 된다는 결론이 나올 수도 있다. 저자는 이것을 헛소리에 불과하며 스스로에 대한 기만이며, 진실로 자신을 사랑하는 것이 될 수 없다고 일침을 가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자존감, 자기 위안, 위로, 공감능력, 소확행은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때에만 나에게 도움이 된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열등감 또한 자연스럽게 받아들인다면 변화의 원동력이 될 수 있으며, 나를 동정하거나 변명하고, 생색내거나 자랑하지 않으며, 일찍 일어나고 신체를 단련하는 것 등등 나의 조그만 노력이 나를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지금 그대로의 나를 사랑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사랑할 수 있는 나가 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저자의 말에 깊이 공감이 되었다. 강제적인 요인에 의해서가 아니라 나의 자유의지에 따라 나 스스로 좋은 방향으로 극복하는 것이 진정으로 나 자신을 사랑하는 일일 것이다. 그러니 강해지는 것은 의무가 아니라 나의 권리가 되는 셈이다.


진정한 나를 찾아가고 나를 강하게 단련시키고 싶은 분들에게 이 책을 읽어볼 것을 추천드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