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셜록 홈즈 두뇌 퍼즐 - 타이머를 설정하라! 명탐정을 이길 수 있을까? ㅣ 셜록 홈즈 퍼즐
댄 무어 지음, 최경은 옮김 / 문예춘추사 / 2022년 11월
평점 :

겨울이 되면서 추위 때문에 꼭 필요한 일이 아니면 집콕하고 있다. 그런데 연말이 되어가는 시기에 집콕을 하면 다른 시기보다 더 심심한 듯 느껴져, 뭔가 더 새롭고 흥미로운 것을 찾아 나서야만 할 것 같은 느낌적인 느낌이 드는 건 왜일까? 😅
그러던 중 책장에 꽂혀있던 『셜록 홈즈 두뇌 퍼즐』을 발견하고는 '맞다, 이게 있었지!'하고 기쁜 마음에 펼쳐 들었다. 간단히 소개하자면 이 책은 『셜록 홈즈』의 이야기와 인물을 차용한 퍼즐책이다. 그렇기에 『셜록 홈즈』를 읽어 본 사람들은 원작에 힌트를 얻어 문제를 푸는 것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읽어보지 않았다 하더라도 문제를 푸는 데는 상관이 없기에 걱정할 필요는 없다.
이 책의 퍼즐들은 푸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을 정도지만 두뇌 사고력을 필요로 하기에, 퍼즐을 풀어 나가다 보면 재미와 성취감을 느끼면서 그야말로 시간 순삭을 경험할 것이다. 더군다나 모든 퍼즐들이 하나하나 전부 독립적이기에 순서와 상관없고 퍼즐 풀이의 시작과 끝을 내 마음대로 정할 수 있으니 얼마나 편안한가.
그럼 책에 나오는 퍼즐 몇 개를 소개해 보겠다.

<죄악의 방>
『셜록 홈즈』를 읽지 않아도 상관없다고 했지만 이 문제는 원작을 읽지 않은 사람들이 풀기에는 조금 어려울 듯한 문제이다.
「입술이 비뚤어진 남자」에 나오는 내용을 알아야 답을 할 수 있는데, 혹시 상상력이 풍부하다면 금방 답을 낼 수도 있을지 모르겠다.

<같은 종류 네 개>
정말 정석적인 두뇌 퍼즐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 문제로, 특이하게 삐져나온 부분을 기준으로 모양을 잘라보다 보면 답이 나오게 된다.

<다섯 개의 오렌지 씨>
처음에는 단순한 수학 문제인 줄만 알고 '수평적 사고'라는 카테고리에 포함된 이유를 모르겠었는데, 알고 보니 독자들이 부주의하게 넘어가는 부분을 공략한 문제였다. 정확히 말하자면 현재 우리나라 기준 거의 모든 수험생들이 가지고 있을 문제점이기도 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바로 묻는 내용을 교묘하게 비튼 것이다.
다들 문제 설명만 열심히 보고 묻는 내용은 대략적으로 훑어 요지를 파악할 텐데, 이때 '나무'라는 키워드가 보이면 앞에서 계속 오렌지 나무에 대해 이야기했기에 당연히 오렌지 나무라고 생각하고 넘어가지 그 앞에 '사과'라고 쓰여있는 글자를 신경쓰지 않거나 어쩌면 사과라는 단어를 똑바로 읽고도 '그래서 결국 나무에 물을 얼마나 준 거지?'라고 그냥 지나쳐버릴 수도 있는 것이다.
수학 문제로 치자면 대충 앞에서 a 값에 대한 설명을 잔뜩 해 독자들의 신경을 쏟게 한 다음, 갑자기 α 값을 묻는 것과도 같은 셈이다. 더 주의 깊게 문제를 살펴야 한다는 경각심을 일깨우는 것 같은 문제였다.

<기차표 맞아요>
이 문제는 개인적으로 조금 어이가 없었다. 누가 기차표를 대칭되게 접어볼 생각을 쉽게 할까.
물론 숫자가 디지털식으로 표기된 게 힌트일지 모른다는 생각은 대부분 할 수 있겠지만 그걸 접어서 문자를 만든다니, 개인적으로는 이해가 조금 안 되는 사고의 비약이라는 생각이 드는 문제였다.

『셜록 홈즈 두뇌 퍼즐』은 어디선가 본 듯한 친숙한 문제부터 시작해서 수학 문제, 사고력 문제, 암기 문제, 추측 문제 등 다양한 종류의 문제들을 골고루 섞어 놓아, 마치 흥미진진한 소설을 읽듯 페이지를 넘기며 문제 풀이에 몰두할 수 있게 하고 있다.
혼자 풀어도 재미있지만 주변인과 의견을 같이 나누기도 혹은 겨루기도 하며 푸니 가벼운 승부욕과 함께 즐거운 시간을 공유한다는 점에서 서로에 대한 친밀감도 높아졌다. 또한 디지털 기계로부터 자유로운 시간을 보내 두뇌가 건강해지는 느낌이 팍팍 들었다.
잠깐이라도 넘쳐나는 디지털 게임을 멈추고 두뇌 회전이 필요한 『셜록 홈즈 두뇌 퍼즐』을 보면 어떨까?
분명 디지털 게임에서는 발견하지 못하는 매력에 푹 빠져들고 말 것이라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선물받고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