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경사 바틀비 원전으로 읽는 움라우트 세계문학
허먼 멜빌 지음, 박경서 옮김 / 새움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화자는 월스트리트에 사무소가 있는 형평법법원 주사의 일을 겸한 부동산양도 전문 및 소유권 관련 변호사이다.

그는 터키와 니퍼스라는 필경사 둘과 심부름과 청소를 겸하며 틈틈이 법률 공부를 배우는 열두 살 가량의 소년 급사 진저넛을 직원으로 고용하고 있었다.


터키는 변호사와 비슷한 예순 살에 가까운 사람으로 매일 낮 12시를 기점으로 업무 능력에 심각한 장애를 보였고 토요일에는 그 정도가 더 심했다. 그래서 변호사는 12시가 지나면 근무를 하지 말 것을 권했으나 터키는 함께 늙어가는 처지에 노년을 존중해 달라며 동료 의식을 내세워 계속 근무할 것을 호소했다.

니퍼스는 필경사임에도 법률 문서 초안 작성 같은 전문적 일에 나서거나, 때로는 지역 정치꾼 행세를 하고, 이따금 법원에도 들락거리며 약간의 거래를 하는 등 야심 있는 청년이었다. 하지만 소화불량에 따른 흥분과 신경과민증을 겪고 있었다.

불행 중 다행으로 터키와 니퍼스의 발작은 오전과 오후로 나뉘어 교대로 일어나 업무에 큰 지장은 없었다.


그러나 업무가 바빠지며 필경사를 더 고용할 필요가 생겼다. 그때 신문 구인 광고를 보고 찾아온 사람이 바로 바틀비였다. 그는 예의가 바르고 외로워 보이는 창백한 얼굴의 수수한 용모의 젊은이였다.

변호사는 바틀비를 마음에 들어 하여 고용했고, 그에게 자질구레한 일들을 쉽게 시키기 위해 자신과 가까운 곳에 자리를 정해주었다.


바틀비는 처음엔 밤낮으로 아무 말 없이 기계적으로 일을 아주 많이 했다. 그리고 사흘째 되던 날, 자질구레한 일을 시키기 위해 변호사가 바틀비를 불렀을 때 바틀비는 변호사의 예상과는 달리 자리에서 꼼짝도 하지 않고 부드럽고 단호한 목소리로 대답했다.

"안 하는 편이 더 좋겠습니다."

놀란 변호사가 몇 번이나 다시 업무를 지시했으나 바틀비에게서 돌아오는 대답은 똑같았다.


그 일이 있은 며칠 뒤, 바틀비가 필사한 진술을 직원들과 함께 대조하고자 했으나 직원들 중 바틀비는 아무리 불러도 오지 않았다. 여러 번의 채근 후에 돌아온 대답은,

"안 하는 편이 더 좋겠습니다."

바틀비는 대체 왜 거부하는 것일까?



「필경사 바틀비」는 『모비 딕』의 작가 허먼 멜빌이 쓴 최초의 단편으로 두 차례에 걸쳐 잡지에 연재되었다.

소설은 미국 자본주의의 상징인 월스트리트의 잘나가는 변호사가 화자로 등장하여 그가 알고 있는 필경사 바틀비의 생애에서 일어난 몇 가지 사건을 토대로 전개된다.


바틀비는 고용된 뒤 처음에는 열심히 일하지만 어느 순간 변호사의 업무 지시를 단호히 전부 거절한다. 그리하여 기계적으로 아무 말 없이 일을 많이 했을 땐 그를 신뢰하고 좋아했던 고용주 변호사는 그를 철저히 배제하고 고립시킨다. 바틀비의 노동 거부는 그를 불능의 쓸모없는 사람으로 분류되게 하였고, 모든 것에서 소외된 바틀비는 결국은 무기력하게 죽음에 이른다.


바틀비는 왜 업무 지시를 거부했을까?

바틀비의 행위는 자본주의 질서에 대한 수동적이고 소극적인 거부를 상징하는 것이라고 하지만, 읽는 내내 공감이 가지 않는 행위들이었다. 의미와 행위의 정당성을 이해하기 위해 몇 번을 앞으로 돌아가 읽었지만 역시나….

드는 생각은 현실에서 만약 채용한지 사흘 만에 업무를 계속 거부하는 사람이 있다면 바로 해고되고 심지어는 소송까지 당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뿐이었다. 거기다가 무단으로 사무실 기거라니. 자본가 계급의 하수인이며 자본주의 사회의 전형적 인물이라는 변호사가 아무리 봐도 보살이라는 생각만 들었다. 내가 너무 저항감 없이 자본주의에 찌들고 자본주의의 노예가 되었나 보다.


이 책에는 「필경사 바틀비」 외에 단편 「꼬끼오! 혹은 고결한 베네벤타노의 노래」와 「총각들의 천국과 처녀들의 지옥」이 실려있다. 비슷한 시기에 발표된 세 작품들은 자본주의의 비극성에 대해 경고하고 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단편이라 호기롭게 읽어 나갔으나 상징주의 문학의 대표인 『모비 딕』보다도 의미를 부여하기 더 난해한 작품들이었다.

다른 사람들과 이 작품에 대해 토론해 보고 의미를 찾아가고 싶은 소설이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고 주관적으로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