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의 힘 2 - 최고의 나를 만드는 62장의 그림 습관 그림의 힘 시리즈 2
김선현 지음 / 세계사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은 죽지만 예술 작품은 영원히 남는다. 그리고 현재의 그림들 대부분은 지금껏 전해져오는 작품들을 기반으로 새로운 탄생을 거듭하고 있다.

대체 이러한 그림들에는 어떠한 힘과 매력이 있기에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사람들이 찾는 걸까?


우리는 각자의 각기 다른 목적을 위해 그림들을 찾아 감상하며 저마다의 목적을 달성한다.

어떤 사람은 단지 아름다운 그림을 감상하기 위해, 때론 유명하다고 하니 한 번쯤 보고 싶은 마음에, 경제적 이유에 의한 투자의 목적으로, 혹은 그림을 보고 마음의 위안을 얻기 위해, 그리고 치유의 목적으로…….

아! 며칠 전 영국의 한 환경단체 회원은 테러할 목적으로 고흐의 「해바라기」 그림을 찾아 토마토 수프를 찰지게 던지기도 했다. 그림을 보호하는 게 지구와 사람들을 보호하는 것보다 중요하냐며. 내 생각엔 지구 환경보호를 위해선 테러한 여성들 중 머리를 붉게(?) 물들인 여성이 멋내기 위해 염색약 사용하는 것을 자제하는 게 더 빠른 방법일 듯한데….


아무튼 각자의 목적에 의해 우리는 끊임없이 위대한 명작들을 찾거나 우리가 직접 그림을 그리기도 한다.

『그림의 힘 2』는 미술치료 현장에서 오랜 시간 지내온 저자가 그림이 인간에게 미치는 긍정적 변화를 목격하고 좀 더 많은 이들이 그림으로부터 순효과를 얻었으면 하는 바람에서 그림 62점을 엄선해 소개하고 있다.

전작인 『그림의 힘』을 보지 못해서 거기에 어떤 그림들이 실려있는지는 알지 못하지만 접해본 많은 사람들의 호평에 기대어 이 책에 대한 기대치가 높은 상태에서 이 책을 시작했다.



62점의 그림들은 각각의 목적과 주제를 가지고 있다.

그중 <보기만 해도 머리가 좋아지는 그림>이라는 제목으로 몬드리안의 「적색, 회색, 청색, 황색, 흑색이 있는 마름모꼴 콤퍼지션」을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몇 년 전 한 TV 프로그램에서 제작진이 몬드리안의 그림을 보여주며 뇌파를 측정한 결과, 참여자들의 두뇌 활동이 그 어느 때보다도 크게 활발해졌음을 확인한 바 있다.

이것을 보고 전문가들은 선과 면, 단순한 오방색을 활용한 그림이 뇌를 통합적으로 사용하게 만들어 심신의 변화를 유도하고 사고력을 끌어올려 집중력을 높인다는 결과를 얻었다고 분석했다.


책의 저자는 단기간 집중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이 그림을 감상할 것을 추천하고 있다.



고흐의 작품은 대부분이 유명하지만 이 「꽃 피는 아몬드 나무」 그중에서도 유명한 작품 중 하나일 것이다.

얼마 전 우리나라에서 유행했던 '명화그리기 DIY 세트'의 밑그림으로도 인기를 끌기도 했다.

고흐는 이 그림이 '자신의 절정'이라고 표현했었다고 한다.


이 그림은 고흐 평생에 걸친 유일한 후원자인 동생 테오의 아들이 태어났을 때, 테오가 고흐의 이름을 따서 '빈센트'라고 이름 지었다는 편지를 받고 감격해 기뻐하며 그렸다고 한다. 고흐는 조카가 어려운 상황에서도 희망을 잃지 말며, 인생이 꽃과 열매가 맺히기를 바라는 마음과 사랑을 담아 배경을 조카의 눈빛을 닮은 파란색으로 그렸다.

이 그림 자체가 바로 상대를 소중히 여기고 행운이 가득하길 바라는 사랑인 것이다.



두 손 모아 간절히 무언가를 바라는 느낌을 받는 윌리엄 부게로의 「작은 소녀」는 어떠한가?

이렇게 가슴이 간질간질하게 귀엽고 사랑스러운 소녀가 바라는 소원은 꼭 들어줘야만 할 것 같은 기분이 든다.



필립 윌슨 스티어의 「해변의 젊은 여인」을 보고 있으면 갑자기 시간이 멈춘 듯 모든 것을 멈추고 한 템포 쉬어가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저자는 이 그림이 우리에게 세상에서 가장 멋진 일탈을 선물할 것이라고 했다.

시간에 쫓겨 살아가는 일상에서 잠시 벗어나 다른 여유를 즐겨보는 시간, 그림은 달콤하고도 느슨한 여유를 가져다준다.



이 외에 어떤 그림들이 우리의 마음을 보듬어 주기 위해 『그림의 힘 2』에서 우리를 기다리고 있는지 궁금하지 않은가? 일상을 살면서 자주 미술관에 가지는 못하더라도 『그림의 힘 2』를 통해 이렇게 명화들을 하나씩 보며 일상을 즐기면서 여유로운 충실함을 행하는 것은 어떨까?


그림을 통해 위로받고, 때로는 치유를 받으며 우리의 삶이 행복으로 충만하여 언젠가 인생의 끝자락에서 '정말 참 잘 살았다'라는 생각이 들었으면 좋겠다.

그림을 보면서 꼭 남들이 느끼는 것과 똑같은 느낌을 받을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다른 사람에게는 우울한 느낌을 주는 그림이 어떤 사람에게는 아무도 이해하지 못하는 자신의 마음을 이해해 주는 것 같아 행복을 가져다줄 수도 있을 것이다.

저자처럼 나도 그림의 위대한 힘을 믿는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고 주관적으로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