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이야기 전달자 - 2022년 뉴베리상 100주년 대상 수상작 오늘의 클래식
도나 바르바 이게라 지음, 김선희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로이스 로우리의 『기억 전달자』의 감동을 뛰어넘을 작품이 이번 2022년 뉴베리 상 100주년 대상작으로 선정되었다. 그 주인공은 바로 도나 바르바 이게라의 작품 『마지막 이야기 전달자』이다.

이 책은 어린이 책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뉴베리 대상' 수상뿐만 아니라, 권위 있는 청소년 문학상이자 라틴 아메리카 문화를 훌륭하게 표현한 작가에게 수여하는 상인 '푸라 벨프레 대상'을 수여한 작품이기도 하다.


2061년 태양면 폭발로 핼리 혜성의 궤도가 바뀌어 지구에 그대로 충돌할 위험에 처하자 정부는 다른 사람들보다 더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과학자, 행성 개척단, 지도자들을 사람들 몰래 우주선에 싣고 인터스텔라 여행을 계획했다.

엄마가 식물학자이고 아빠가 지질학자인 덕분에 주인공 페트라의 가족은 새로운 행성으로 갈 수 있게 선택을 받았지만 그 안에 사랑하는 할머니는 포함되지 않았다. 할머니를 지구에 두고 떠나야 한다는 생각에 괴로웠지만 페트라 역시 엄마, 아빠와 동생 하비에르와는 떨어지고 싶지 않아 현실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

그렇게 우주선에 탑승한 페트라는 수면 상태 포드에 들어가 380년 후에 깨어나도록 설정되어 수면 상태가 된다. 그 수면 기간 동안 포드에서 엔 코그니토 프로그램으로 식물학과 지질학 수업을 자동적으로 뇌에 주입받아 엄마와 아빠만큼 그 분야 전문가가 되어 새로운 행성 세이건에서 깨어나기만 하면 되는 것이었다.


오랜 시간이 지나 누군가 포드의 액체를 빼고 페트라를 깨웠을 때, 페트라는 무언가 잘못되었음을 느꼈다. 가족들은 보이지 않았고 타고 온 우주선은 콜렉티브들이 이미 지배하고 있었다.

운항 중 페트라의 의식이 돌아왔을 때 들렸던, 콜렉티브들이 함께 탑승했던 모니터 요원 벤을 제거하고 사람들의 기억을 모조리 지우려 했던 일이 현실이 되어 있었다.


깨어난 아이들은 수면 상태에서 머리카락조차 세뇌당한 것 같았고, 페트라만이 유일하게 어떤 이유에서인지 기억이 지워지지 않은 채 그대로 가지고 있었다.

페트라는 살기 위해 콜렉티브에 의해 세뇌당해 완벽한 지식과 순종을 지닌 제타1을 연기하기 시작했고, 어딘가에 있을 부모님을 찾아 나설 계획을 세운다. 하지만 부모님은 이미 오래전에 벤과 마찬가지로 제거된 뒤였고, 하비에르는 생사를 알지 못했다.

이렇게 희망을 잃은 페트라는 악몽을 꾼 제타4에게 할머니가 들려줬던 옛이야기 속 블랑카플로르 공주 이야기를 들려주며 자신 또한 여기서 끝날 수는 없다며 마음을 굳게 먹는데….



이 소설은 이기적인 한 집단에 의해 인간성을 상실하고 필요성과 쓰임에 의해 생사가 결정되는 미래의 우주를 배경으로, 주인공 페트라가 희망을 잃지 않고 할머니에게 들었던 옛이야기에 용기를 얻으며 살아남아 싸우고 우주선에서 달아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이야기이다.

소설 속에는 할머니가 들려주셨던 블랑카플로르 공주 이야기를 포함한 다양한 이야기들이 나오고 페트라는 단지 이것을 그대로 전달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할머니가 말씀하셨던 것처럼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서 전달한다.

그리고 그 이야기들을 들으며 제타로 불리던 세뇌되었던 아이들은 조금씩 변해간다.


불일치와 불평등이 인간을 불안과 불행으로 이끈다며 자유의지를 박탈한 채 오로지 복종만을 하게 한다면, 과연 행복한 인간이 되었다고 할 수 있을까?

그리고 갈등 없는 세상을 위해 아무 의사 판단 없이 오로지 사령관의 명령에만 복종하는 것이 과연 불평등과 불일치를 타파한 평등하고 조화로운 세상이라고 할 수 있을까?


유일하게 지구의 모든 기억을 가지고 있는 마지막 이야기 전달자 페트라는 어떻게 자신의 미래를 개척해 나갈까?

읽으면서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것이 무엇인지 다시 한번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다.

아이들뿐만 아니라 어른들도 꼭 읽어보길 강력 추천한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고 주관적으로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