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일간의 세계 일주 책세상 세계문학 4
쥘 베른 지음, 이세진 옮김 / 책세상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빌링턴 가든스의 새빌로 7번지에 필리어스 포그라는 영국 신사가 살고 있었는데, 그에 대해서는 영국 상류 사회에서 가장 잘생긴 신사이며 리폼 클럽의 회원이라는 것 외에는 알려진 것이 없다. 그는 한결같이 변함없는 습관을 가지고 사는 인물이었기에 하인에게도 시간 엄수와 자신의 습관에 맞춘 이례적인 규칙성을 요구했다. 이러한 이유로 그는 10월 2일 오전, 하인 포스터가 면도할 때 쓰는 물의 온도를 1℃ 낮은 온도로 내왔다는 이유로 해고했다. 그리고 그날 바로 자신의 조건을 충족시켜 줄 하인 장 파스파르투를 새로 고용한다.


새로 고용한 하인 파스파르투를 저택에 남겨두고 평소와 같이 리폼 클럽에 간 포그 씨는 평소 게임을 같이 하는 동료 회원들과 며칠 전 영국은행에서 발생한 5만 5000파운드의 도난 사건에 대해 이야기하게 된다. 대화는 사건의 범인이 검거될 것이라는 고티에 랠프와 그런 믿음과 거리가 먼 앤드루 스튜어트와의 논쟁으로 번지고 어느새 교통기관의 발달로 세상이 예전보다 작아졌다는 이야기로 흐르면서 세계 일주에 걸리는 시간을 계산하는 데까지 이른다.


결국 모든 예상 가능한 불의의 상황을 고려해서 세계 일주 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80일이 걸린다는 계산을 내놓은 포그 씨를 상대로 동료 회원들이 불가능하다는 데 돈을 걸며 80일간의 세계 일주는 2만 파운드가 걸린 내기로 번진다. 내기를 하기로 한 여섯 사람은 그 자리에서 약정서를 작성했고, 그날 저녁 포그 씨는 오전에 새로 고용한 하인 파스파르투를 데리고 여행을 떠난다.


필리어스 포그와 파스파르투는 열차와 여객선을 이용해 런던을 떠나 수에즈에 도착한다. 그런데 수에즈에서는 영국은행 절도 사건으로 세계 주요 항구에 파견한 형사 중 한 명인 픽스가 모든 여행자들을 감시하고 있었고, 마침 영국 영사관에서 비자 날인을 받기 위해 파스파르투가 들고 있던 포그 씨의 여권을 보고는 거기에 작성된 인상착의가 런던 경찰청장이 보내준 절도범의 인상착의와 일치한다고 생각해 포그 씨를 은행 절도범으로 오인한다.

파스파르투로부터 내기로 80일간의 세계 일주를 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전해 들은 픽스는 다음 행선지가 뭄바이라는 말을 듣고는, 런던 경찰청장에게 필리어스 포그에 대한 체포영장을 뭄바이로 보내 달라는 전보를 보낸 뒤, 그들을 따라 인도 뭄바이행 몽골리아호에 몸을 싣는다.


뭄바이에 도착한 포그 씨와 파스파르투는 열차를 타고 콜카타로 가던 중, 중간 지점인 콜비에서 알라하바드까지 철로가 완공되지 않아 발이 묶일 뻔했으나, 파스파르투가 이동 수단으로 코끼리가 있음을 알아와 코끼리를 구입해 타고 이동 거리가 짧은 숲을 가로지른다. 그런데 그곳에서 '사티'로 산 채로 죽은 남편과 함께 화장 당할 위기에 처한 젊은 인도 여인 아우다 부인을 발견하고 구출하는데….



『80일간의 세계 일주』를 비롯해 『해저 2만 리』, 『15소년 표류기』등 우리에게도 익숙한 소설들이 쥘 베른의 작품인 것을 보면 알 수 있듯이, 그에게는 항상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읽히는 책을 저술한 작가라는 수식어가 따라붙는다.

그는 단순히 자신의 상상과 공상에만 기대어 소설을 쓴 것이 아니라, 작품을 쓰기 위해 수많은 자료를 조사하여 정확한 과학적 지식에 기반하여 쓰도록 노력하였기에 '공상 과학 소설의 아버지'로 불리며 후대 과학 소설들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80일간의 세계 일주』는 필리어스 포그와 하인 파스파르투가 내기로 80일 동안 세계 일주를 하는 소설로, 그들이 세계 일주를 하며 겪게 되는 좌충우돌 다양한 모험을 흥미진진하고 재미있게 그리고 있다.

소설은 이 소설이 쓰여진 19세기 당시의 세계 여러 나라 사람들의 모습과 독특한 풍습, 그곳의 거리 모습 등을 사실감 넘치게 그리고 있어 당시의 모습을 보지 못한 우리들에게 풍부한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소설 중에 나오는 등장인물의 과하지 않은 유쾌한 유머는 지금 읽어도 기분 좋은 웃음을 유발한다.

그리고 마지막에 펼쳐지는 기막힌 반전.


소설은 포그가 세계 일주하는 나라 중 아시아 국가로는 당시 홍콩과 일본 요코하마의 모습을 자세히 그리고 있다. 그러나 그 사이에 있는 조선은 언급조차 되지 않고 있다. 읽으면서 '만약 소설이 지금 쓰였다면 우리나라가 들어갔겠지?'하는 생각을 해보기도 했다.

하지만 파스파르투가 아무리 홍콩이나 일본에서 고생을 했다고 하더라도 샌프란시스코로 가는 배에서 아우다 부인에게 중국이나 일본 같은 희한한 나라들을 여행하는 것이 가장 어려운 관문인데 이미 그 단계를 지나 문명국들로 돌아가고 있다고 이야기하는 데서 당시 유럽인들이 아시아의 국가들을 문명국이 아닌 희한한 야만국으로 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어 씁쓸했다. 어쩌면 이 소설에 조선이 언급되지 않은 것이 더 다행일지도.


소설은 마지막에 '포그가 이 여행에서 무엇을 얻었는가'를 묻고 있다.

돈? 명예? 매력적 반려자?

이 질문을 보며 나는 나에게 여행이라는 것이 어떤 의미이고 그것으로부터 무엇을 얻고자 했고 무엇을 얻었는지를 자문하며 소설을 덮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