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전 리뷰툰 2 : SF편 - 유머와 드립이 난무하는 ㅣ 고전 리뷰툰 2
키두니스트 지음 / 북바이북 / 2022년 8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910/pimg_7114282153553399.jpg)
『고전 리뷰툰』이 워낙 호평 일색이었기에 그 책을 읽지 않은 나로서는 『고전 리뷰툰 2』에 대한 부푼 기대 반, '전편의 감상평에 혹시 거품이 끼어있었을지도 몰라.'라고 의심하는 마음 반으로 책을 펼쳤다.
하지만 이 책에 실린 첫 번째 작품 『프랑켄슈타인』을 리뷰하는 글부터 공감을 불러일으키며 의심했던 마음을 반이나 가졌던 나 자신을 반성했다.
대박~진짜가 나타났다!!
이 책은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제목은 들어서 알고 있고, 내용 또한 대충은 알고 있을 SF 고전 10편 『프랑켄슈타인』, 『해저 2만 리』, 『지구 속 여행』, 『잃어버린 세계』, 『타임머신』, 『투명인간』,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유년기의 끝』, 『아이, 로봇』, 『파운데이션』 시리즈에 대한 리뷰를 담고 있다.
이 중 내가 읽은 책은 5편이니 선방을 했다는 마음이 없진 않았으나, 그 5편 대부분이 어릴 때 읽어서 대충 큰 흐름만 기억이 난다는 부끄러운 현실을 깨달았다.
『아이, 로봇』은 영화로 봤기에 본 책에 은근슬쩍 포함시키려 했으나 이 책을 읽으며 『아이, 로봇』의 책과 영화는 아예 다른 내용이라는 사실을 알고 깜짝 놀라 감히 읽은 책에 포함시킬 수가 없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910/pimg_7114282153553400.jpg)
이 책은 고전 소설의 내용에 대한 리뷰 위주로만 글을 전개하는 것이 아니라 책을 읽으면서 어떤 이들은 한 번쯤은 의문을 가져봤을법한 내용을 작가 키두니스트 특유의 유머감각으로 풀어내고 있다.
『프랑켄슈타인』의 경우 처음은 북극 탐험을 하는 선장이 자신의 누이에게 보내는 편지로 소설이 진행된다. 몇 년째 하는 위대한 모험은 보람찬 일상이지만 외로워서 그런지 누이에게 자주 편지를 쓴다. 배 위에서도, 북극 인근에서도.
그런데 오빠에게 온 편지를 읽는 여동생 뒤에서 남편이 "그 편지 어떻게 받은 거야? 진짜 궁금해서 그래."라고 말을 건다. 여동생의 대답…, "어, 부엉이가 보내줬어요!" 😂
그러고 보니 정말 북극 바다를 외롭게 떠다니는 배에서 선장은 대체 어떻게 동생에게 편지를 보내줬을까?
거기에 대한 작가의 생각들이 책에 잘 나와 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910/pimg_7114282153553402.jpg)
또한 프랑켄슈타인으로부터 버려진 괴물(크리처)이 홀로 생존하며 스스로 말과 글자를 익히지만 다른 사람들과 나눌 수 없는 애정에 공허함을 느끼고는 그 공허함을 책으로 대체했다는 부분에서 작가의 유머가 폭발한다.
겨우 글자를 익히고 처음으로 접한 책이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플루타르코스 영웅전』, 『실낙원』이라는 말에 어이없어하더니, 묘사된 괴물의 외모 정도는 견딜만할 것 같다며 사귀… 아니 친구부터 시작하자며 들이댄다. 아 웃겨~! 🤣
사실 지금 우리가 프랑켄슈타인 하면 떠올리는 여기저기 꿰맨 자국에 볼트가 이마에 박혀있는 외모는 나중에 영화로 제작될 때 괴물이라는 시각적인 충격을 위해 영화사에서 만든 얼굴이지 소설에서 묘사된 외모는 아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910/pimg_7114282153553403.jpg)
또한 작가는 이토 준지가 각색한 『프랑켄슈타인』과 원작을 비교하며 원작에서의 전개가 더 마음에 든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그러면서 공포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는 『프랑켄슈타인』이 과연 공포물이 맞는가에 대한 의문을 던지며 그것에 대한 작가의 생각을 정리해서 말하고 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910/pimg_7114282153553404.jpg)
또한 우리에게는 『셜록 홈스』 시리즈로 유명한 아서 코넌 도일의 SF 고전 『잃어버린 세계』도 특유의 유머와 드립으로 호기심을 유발하고 있다. 이 작품 역시 내가 어릴 때 읽었던 작품이어서 읽으면서 기억이 새록새록 돋았다. 그런데 이것이 아서 코넌 도일의 작품이었다는 것은 몰랐다.
아서 코넌 도일은 역사 소설, 밀리터리 소설, 호러 소설, 심지어는 시까지 정말 다양하고 많은 작품을 집필했다. 그 작품들이 대부분 잘 쓰였고 어느 정도 성공도 거두었지만 『셜록 홈스』가 상식을 뛰어넘은 성공을 거두는 바람에 다른 작품들이 다 묻혀버리고 만다. 오로지 『셜록 홈스』.
"그래 아들아! 그래서 홈스는 왜 죽였니?"라니.🤣
이외에도 이 책은 우리가 흔히 제목 때문에 착각할 수 있는 영화 《잃어버린 세계를 찾아서》는 『잃어버린 세계』가 아닌 쥘 베른의 『지구 속 여행』이 원작이며 《쥬라기 공원 2 : 잃어버린 세계》가 소설 『잃어버린 세계』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려주고 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910/pimg_7114282153553405.jpg)
앞에서 언급한 2편 외에도 SF 고전 8편에 대한 무한 유머를 장전한 리뷰가 이 책에 실려있다.
너무 재미있어서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읽었다.
이 책을 읽고 있으니 고전이 별것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고전이 딱딱하고 지루하고 어렵다고 누가 말했나? 세상에서 제일 재미있는 것이 고전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을 읽고 내가 읽었던 책들도 나름 다시 생각을 정리했고, 읽지 못했던 책도 어느 정도 사전 지식을 정리해서 도전해서 읽어야겠다고 생각했다.
고전 읽기에 도전하겠다고 계속 계획만 세우고 있는 사람들에게 일단 고전에 쉽게 접근하기 위해 이 책을 읽어보라고 강력 추천하고 싶다. 아니, 무조건 읽으라고 이야기하고 싶다.
정말 후회 없는 신의 한 수가 될 책이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910/pimg_7114282153553406.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