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환자
재스퍼 드윗 지음, 서은원 옮김 / 시월이일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신과 의사인 주인공 파커는 자신의 직업윤리와 독자들의 안전 문제를 염려하며 이야기에 등장하는 이름과 장소는 실명을 사용하지 않겠다는 말로 소설을 시작한다.

소설은 2000년대 초 미국 코네티컷에 있는 주립 정신병원에서 일어난 이야기이다.

파커는 박사 과정을 밟고 있는 약혼녀 조슬린의 곁에 있기를 원했기에 그녀의 집 근처에 있는 이 작은 주립 정신병원에 지원했다.


그 병원에도 모든 정신병원에는 반드시 있다는 '그 환자'가 있었다. '그 환자'란 정신병원임을 감안해도 유독 이상한 환자로, 유능하고 경험이 풍부한 의사도 포기하고 꺼리게 되는 환자를 말한다.

그런데 그 병원에 있던 환자는 그중에서도 유독 특이한 환자로 1973년 6살의 나이로 입원한 이래 아무도 그의 병을 진단하지 못했고, 병원의 전 직원에게 접근 금지가 내려진 채 철저하게 소수의 인원만이 출입이 허용된 독방에 수용되어 있었다. 그리고 그에 대한 기록은 찾을 수 없게 오로지 '조'라는 약칭으로 불리고 있었다.


젊고 야심 찼던 파커는 이 수수께끼투성이의 '조'에게 매료되어 그를 치료해 보고자 하는 마음먹는다. 그리하여 조에게 접근이 허용된 소수 인원 중 한 명인 간호사 네시에게 이야기를 털어놓지만 그녀는 그 이야기를 듣자마자 격한 반응을 보이며 자신에게 주어진 조의 투약 업무가 너무 괴로운 일임을 이야기하며 절대 조에게 가까이 다가가지 말라는 충고를 한다.

그러나 하지 말라고 하면 더 하고 싶은 것이 인간의 심리인지 파커는 자신이 조를 진단할 수 있는 기회를 찾으려 애썼고, 우연히 네시가 투약 근무자 명단을 두고 자리를 비운 사이 그 명단에서 조의 풀네임 '조셉 E.M'을 보게 된다.


이후 주말에 기록물 관리실에 가 남들 몰래 조의 서류를 보고 '그 환자' 조에 대한 호기심은 집착으로 변하게 되었다.

기록에 따르면 조는 6살의 나이로 극심한 야경증 때문에 처음 병원을 찾았다. 그는 자기 방 벽 안에 어떤 괴물이 살고 있으며 그 괴물이 밤에 나타나 자신을 놀라게 한다는 환각 증세에 환청, 벌레 공포증이 있었는데, 조가 폭력적인 사건을 일으키자 부모가 병원에 데리고 온 것이었다.

처음 입원했을 때는 치료에 협조적이며 밤에 수면 장애를 보이지 않아 퇴원했지만, 퇴원 다음날 다시 병원을 찾았을 때 조의 상태는 급격하게 변해 있었다. 더 이상의 벌레 공포증이나 환각 증세는 없었지만 전에 없이 폭력적, 가학적이었으며 그 상태는 계속 악화되었다.

그로 인해 조의 룸메이트나 조를 담당한 간호사나 의사들은 정신적, 신체적으로 피해를 입거나 자살을 했다.


그런 기록들을 본 뒤 어떻게 하면 병원의 협조하에 자신이 조의 치료를 담당할 수 있을지 고심한 파커는 다음날 출근길에 간호사 네시가 그 환자의 병실에서 나온 직후 옥상에서 뛰어내려 죽었다는 사실을 전해 듣는데….



정신병원에 거의 평생을 수용된 '그 환자' 조.

소설을 읽기 전 나는 『그 환자』가 《양들의 침묵》에 나오는 한니발 렉터처럼 독심술 같은 것을 이용해 상대를 파악하여 심리를 조종하는 소름 끼치는 악마 같은 천재의 이야기라고 막연하게 추측했다.

그러나 웬걸. 읽다 보면 소설은 점점 서스펜스 심리 스릴러가 아닌 오컬트 호러 스릴러를 추측케하며 극도의 섬뜩하고도 불쾌한 공포 속으로 나를 끌고 들어갔다.


이 책은 정신과 의사 파커의 1인칭 시점에서 서술되며 마치 실화에 바탕을 둔 것처럼 시작되기 때문에 픽션인지 논픽션인지 구분이 잘되지 않았다.

그래서 추리와 오컬트를 좋아하는 1인으로서 첫 부분에 나오는 조의 과거 서류에 적힌 기록들을 보며 나름 유추했던 사실들이 완전히 맞아떨어지며 반전이 없어서 그것이 너무 섬뜩했다. '이거 뭐지? 이게 왜 다 들어맞지? 이거 실화였던 거 아냐?'라며 혼란스러운 가운데 소설 맨 뒤편에 작가가 쓴 <감사의 글>을 읽고 나서야 비로소 픽션이라는 것을 확신하고는 안심(?)했다.


소설은 읽는 내내 다음에 어떤 내용들이 나올지 계속 추측하게 만들며 공포영화를 볼 때처럼 긴장감을 늦추지 못하게 했다. 그러다 보니 280페이지가 되는 소설책을 금방 읽어버렸다. 가독성 면에서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것 같다.

그런데 거의 모든 공포물의 결말이 그러하듯 결말이 열린 결말처럼 깔끔하지 못하게 조금 찝찝하게 끝난 것 같다. 작가가 일부러 독자들이 더 두려움과 공포를 느끼라는 의도에서 열린 결말 형식으로 끝을 맺은 것 같은데 나처럼 소심하고 심약한 사람은 어떻게 살라고…. 이런 작품은 제발 꽉 닫힌 결말로 끝내줬으면 하는 바람이다.

상상력을 극한까지 끌어올리며 공포를 느껴보고 싶은 사람들에게 추천한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고 주관적으로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