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밤, 세계에서 이 눈물이 사라진다 해도
이치조 미사키 지음, 김윤경 옮김 / 모모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루세에게는 딱히 내세울 만한 개성이나 특징이 없었다. 그는 국립대학교에 들어가기 위해 열심히 공부했지만, 그것은 같은 대학에 들어간 누구에게나 다 적용되는 것이었다.

그런 그가 같은 대학교 같은 학과의 한 학년 선배인 와타야 이즈미를 보고 한눈에 반했다. 그녀에게는 도도하면서도 쓸쓸한 어떠한 분위기가 있었다.


와타야에게 관심 있어 하는 나루세를 보고 고향 선배는 술자리 모임을 주관했고, 그곳에서 많은 사람들 앞에서 나루세가 와타야를 좋아한다고 폭로했다. 나루세는 당황했지만 와타야는 덤덤하게 상황을 잘 넘겼다. 와타야는 첫인상과는 달리 털털하고 솔직하며 명랑한 사람이었다.


이후 나루세는 와타야에게 더욱 마음을 빼앗기며 학교 캠퍼스에서 와타야를 찾아다녔다.

그리고 어느 날 와타야와 자연스럽게 대화를 하게 된 나루세는 마음이 들떠 가벼운 분위기를 만들려다가 말실수를 하고 만다.

"와타야 선배는 절절한 사랑 같은 건 안 해봤을 것 같아요."


이후 와타야와 마주치기 망설여져 와타야를 일부러 찾아다니지 않던 나루세는 도서관에서 우연히 와타야와 마주쳤다. 자신의 감정을 주체하지 못할 것 같아 자리를 피하려는 나루세를 불러 세운 와타야는 다정한 남자는 짜증 나서 싫다는 말을 하며 자신을 좋아하지 말라는 말을 하려는 순간 나루세가 좋아한다는 말을 먼저 내뱉는다.

차일 것을 예상하고 있던 나루세에게 와타야는 잠시 뜸을 들인 뒤 '자신을 정말로 좋아하지 말 것'이라는 조건을 내세우며 연애 놀이를 허락하는데….



작가는 이 소설이 『오늘 밤, 세계에서 이 사랑이 사라진다 해도』의 스핀오프로 집필한 작품이라고 밝히고 있다. 전작을 읽어보지 않았지만 와타야의 시점에서 진행되는 이야기를 통해 그 내용을 짐작해 볼 수 있었다.


이 소설은 처음에는 와타야와 나루세의 시점에서 이야기가 번갈아가며 진행되다가, 뒤에는 선행성 기억상실증에서 회복된 마오리와 와타야, 나루세 세 명의 시점에서의 이야기가 각각 진행된다.


사랑이라는 것은 계획도 없이 사람의 마음에 스며들어 속수무책으로 가슴에 깊은 자국을 남기는 것 같다. 영원히 같이 존재할 것만 같았던 사랑하는 이의 죽음은 남겨진 모든 사람들에게 깊은 상실감을 안겨준다.

사랑하는 이를 더 이상 보지 못한다는 슬픔을 극복해 나가는 것은 남겨진 이들의 운명이며, 그것은 어떠한 정해진 방법이 있는 것이 아니라 각자에게 맞는 방법으로 극복해 나가야 할 따름이다.


과거의 기억을 붙들고 그저 자기 연민에 빠져 있는 것이 사랑했던 죽은 이를 위하는 길일까?

죽은 이와의 잊지 못할 기억은 과거의 아름다운 기억으로 박제해두고 남겨진 이들은 새롭게 자신들의 삶을 써 나가야 한다. 진정 남겨진 이들을 사랑했던 이라면 분명 그도 그렇게 원했을 것이다.

사랑했던 이가 더 이상 세상에 없다고 굳이 잊으려 애쓸 필요도 없다. 그 사랑은 간직한 채 다른 사랑을 채워 넣으면 세상은 슬픔이 아니라 더욱 찬란하고 소중한 사랑으로 가득 차게 될 테니까.


가슴 아픈 사랑을 이겨내고 한걸음 앞으로 나아가 자신의 삶을 살아가는 주인공들을 보며 가슴 벅찬 감동을 느꼈다.

가슴 뭉클하고 애절한 사랑을 간접 경험하며 뜨거운 눈물을 흘려보고 싶은 사람들에게 이 소설을 적극 추천한다.





스튜디오오드리 공식계정 (@studio.odr)에서 출간기념 구매인증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어요. 한정판 제작 굿즈부터 다양하고 푸짐한 경품이 준비되어 있으니 책도 읽고 이벤트에도 꼭 참여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출판사로부터 지원받고 주관적으로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