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를 위한 세계관 구축법 : 구동 편 - 종족, 계급, 전투 작가를 위한 세계관 구축법
티머시 힉슨 지음, 방진이 옮김 / 다른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를 위한 세계관 구축법 : 구동 편』에서는 이야기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고민할 수 있는 요소들인 주인공을 위한 시련과 성장 과정, 캐릭터의 관점, 이야기의 배경에 담긴 역사 등, 어떻게 보면 '미세 조정'이라고 할 수 있는 섬세한 부분들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

상대적으로 커다란 요소들은 이 책의 저자가 쓴 또 다른 책인 『작가를 위한 세계관 구축법 : 생성 편』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다. 혹시 안 읽어보았다면 꼭 한 번 읽어보기를 추천한다.


『작가를 위한 세계관 구축법 : 구동 편』는 이 책 한 권만 읽어도 충분히 이야기를 써내는 데 도움이 되겠지만, 『작가를 위한 세계관 구축법 : 생성 편』도 읽어본다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된다.


'어떻게 싸워야 잘 싸운단 소문을 들을까?'

웬만한 판타지 이야기에는 전투 장면이 꼭 나온다. 그중에는 거대한 전투뿐만이 아니라, 개개인의 전투에 치중되어 묘사되는 경우도 허다하다. 그리고 이러한 전투 장면들은 대개 소설의 단계인 '발단-전개-위기-절정-결말' 중에서 '위기'와 '절정' 부분에 속하면서 독자들이 몰입을 최대로 하게 만들어야 하는 부분이다.

그렇지만 너무 세세할 경우 쓴 노력이 아깝게 독자들은 너무 세세한 묘사에 지루함을 느낄 수도 있고, 그렇다고 너무 뭉뚱그려서 묘사할 경우 독자의 몰입 자체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런 문제들이 없도록 적당한 수준으로 묘사를 해야 할 텐데, 그 정도를 특정 짓는 것은 매우 어렵다.


『작가를 위한 세계관 구축법 : 구동 편』의 저자는 사람들의 흥미와 관심을 받았던 『반지의 제왕』, 『해리 포터』 등과 같은 이야기들에서 이용된 묘사들을 예로 들면서, 이 책의 독자들이 이야기를 써낼 때 전투를 어떻게 묘사해야 할지를 알려주고 있다.

또한 단지 책만 예시로 삼지 않고 《스타워즈》, 《캐리비안의 해적》 등과 같은 영화에 나오는 박진감 넘치는 전투 장면들에서도 중요한 요소들을 뽑아내어, 진정으로 긴장감 넘치고 독자들을 이야기 속으로 빨아들이는 전투 장면을 묘사하는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알려주고 있다.



'악역 끝판왕, 다크로드는 누구인가?'

이야기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단어를 꼽으라면 아마 '주인공'이라는 단어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할 것 같다. 그렇지만 '주인공'에 비견될 정도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게 있는데, 그것이 바로 '악역'이다. 아마 대부분은 이 사실에 대해 동의할 것이다.

'만약에 『해리 포터』에 볼드모트가 없었고, 그저 조금 나쁜 마법사 몇 명만 있었다면?' 아마 그냥 평범하게 마법 학교에 다니는, 그저 그런 평범한 학생의 이야기가 되었을 것이다.

'『반지의 제왕』에 사우론이 없다면?', '《스타워즈》에 다스 베이더부터 시작해서 제대로 된 악역이 하나도 없었다면?' 아마 이 이야기들 모두 흥행하지 못했을 것이다.

주인공 못지않게 이야기를 빛내는 것이 바로 주인공과 대적하는 악역이다. 그렇다고 해서 뜬금없이 나타나서 '나 악역이네'하고 주인공을 괴롭히고, 또 뜬금없이 패배해서 주인공을 빛내줄 수도 없는 노릇이다.

악역을 등장시키는 것도 섬세한 타이밍 조절과 그전에 미리 악역이 등장할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필요하다. 『작가를 위한 세계관 구축법 : 구동 편』을 통해 그 방법을 알게 되리라 믿는다.


『작가를 위한 세계관 구축법 : 생성 편』을 통해서 이야기의 큰 틀을 만들 수 있었다면, 『작가를 위한 세계관 구축법 : 구동 편』을 통해서는 이야기를 구체적으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두 책 모두 꼭 읽어보기를 추천한다.





*출판사로부터 지원받고 주관적으로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