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를 위한 세계관 구축법 : 생성 편 - 마법, 제국, 운명 작가를 위한 세계관 구축법
티머시 힉슨 지음, 정아영 옮김 / 다른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쓰려면, 정확히는 판타지 장르에 속하는 이야기를 써내려면 어떤 부분들을 신경 써야 하고, 어떤 내용들을 써야 할까? 그냥 막연하게 '재미있게 쓰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만 들 뿐, 딱히 별다른 항목 같은 것들을 생각해 내기가 어렵다.

'그걸 알면 이미 베스트셀러 작가가 되었겠지.'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을 위해 이 책은 단순히 소설뿐만이 아니라 영화, 게임에서도 나오는 공통적이고 가장 핵심적인 꿀팁을 아낌없이 대방출한다.


'프롤로그는 예고편이 아니다'

'보기 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라는 말이 있다. 물론 글자 그대로 외모지상주의 급의 이야기일 수는 있는데, 그것보다는 첫인상이 그만큼 중요하다는 것으로 해석해 보았다.

책의 첫인상은 무엇일까? 아마도 가장 첫 부분에 나오는 내용들일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작가를 위한 세계관 구축법 : 생성 편 - 마법, 제국, 운명』에서는 프롤로그를 쓰는 방법을 가장 앞에 둔 것일지도 모르겠다는, 어떻게 보면 어이없을 수 있는 확대 해석을 해 보았다.


솔직히 말하자면, 아무런 정보도 없는 책, 그게 아니더라도 어떤 책 한 권을 펼쳐 들었을 때, 그 책을 계속 읽느냐, 아니면 '이 책이 아닌가벼~'라면서 과감하게 덮어버리고 기피 도서 순위를 재조정하느냐의 갈림길은 얼마나 도입부가 독자들을 끌어들이고, 독자들이 차마 그 책을 놓지 못하게 만드는 가일 것이다.

이 책은 깔끔하게 훌륭한 도입부를 만드는 방법을 실제 명작들을 예시 삼아 독자들의 이해를 도우며 어떤 프롤로그가 좋은 프롤로그인지, 어떤 프롤로그는 그냥 없는 게 나은지, 설명을 하되 어떻게 하면 '설명충' 소리를 듣지 않게 잘 돌려서(?) 설명할 수 있는지, 또 이야기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인 복선은 어떻게 심고,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등을 다루었다.


'선택받은 자 이야기는 쓰지 마라?'

책의 첫인상을 담당하는 것이 도입부라면, 계속하여 독자들을 책의 마지막 장까지 이끌어가는 것 중 하나로는 인물들이 있다.

이야기의 인물들을 크게 나누면 주동 인물과 반동 인물로 나눌 수 있다. 그중 반동 인물의 경우, 조금만 잘못 설정되어도 반동 인물만 비난받는 것이 아니라 반동 인물을 그렇게 어처구니없이 설정하였다고 작가까지 비난받기도 한다. 그 정도로 반동 인물이 이야기 진행에 가지는 비중이 크기 때문인지 인물에 대한 설정 부분에서 가장 먼저 나오는 것 같다.

그 외에도 작가는 반동 인물과 주동 인물 사이의 관계, 반동 인물과 주동 인물 사이의 갈등의 극적인 고조 부분인 '최종 결전'은 어떻게 쓰이는지 등에 대하여 서술한다.


그에 비해 주동 인물, 더 정확히는 주인공의 설정에 대한 부분은 한 부분만을 차지하는데, 주동 인물의 설정에 있어서 어떠한 외적인 요소로 선택받은 내용을 쓰는 것을 담았다.

운명론적이라고 할 수 있는 설정들부터 들으면 십중팔구 영화에 나오는 토르의 묠니르를 떠올리게 만드는 특정한 사물에 의한 선택까지의 내용을 식상하고 지루해서 차라리 없는 게 나은 설정이 아닌, 오히려 어떻게 하면 이 내용이 이야기 전체에 더욱 활력을 북돋을 수 있는지를 서술하고 있다.



『작가를 위한 세계관 구축법 : 생성 편 - 마법, 제국, 운명』을 선택해 읽을 사람들은 아마 크게 두 부류로 나뉠 것 같다.

첫 번째 부류는 실제로 이야기를 쓰려고 하는데 어떻게 써야 하는지가 막막하거나, 어떠한 설정을 어떻게 하면 더 효과적으로 쓸 수 있을까 등을 고민하는 사람들이다.

이런 사람들에게는 긴말할 필요가 없을 것 같다. 그냥 읽어라.

이 책은 책을 쓰는 사람들이 생각하지도 못한 부분까지 설명해 주기 때문에, 더욱 탄탄한 이야기 구성을 원한다면 읽어보는 것이 좋을 것이라 생각한다.


두 번째 부류는 딱히 책을 쓰는 것에는 관심이 없지만 판타지를 좋아하여 이 책의 제목에 흥미를 느껴 펼쳐보게 되는 사람들이다. 그런 사람들은 아마 이 책을 펼치기 전부터 표지가 완전히 펼쳐지기 전까지 아마 14000605번(어벤저스 인피니티 워 참고) 정도 읽을지 말지에 대해 고민을 할 것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읽기를 추천한다.

작가들이 책을 쓸 때 이러한 부분들을 생각하는구나 싶은 것들도 있고, 전혀 신경 쓰지 않고 있었지만 책 구성에서 상당히 큰 비중을 차지하는 내용들까지, 독자의 입장에서가 아닌 작가의 입장에서 판타지를 해석해 볼 수 있게 하여 이야기들을 더욱 재미있게 즐길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을 다 읽고 나니 자연스럽게 『작가를 위한 세계관 구축법 : 구동 편 - 종족, 계급, 전투』에 담겨 있을 글쓰기의 꿀팁들이 너무 궁금하다.





*출판사로부터 지원받고 주관적으로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