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상을 구한 의학의 전설들 - 위대한 의학의 황금기를 이끈 찬란한 발견의 역사
로날트 D. 게르슈테 지음, 이덕임 옮김 / 한빛비즈 / 2022년 2월
평점 :
실수로 해부용 칼이 피부에 상처를 입힐 때 치명적 물질이 불행한 콜레치카의 몸속으로 들어갔다. 그리고 그 물질은 분명 시체를 해부한 남자들, 즉 의사와 의대생의 손에도 있던 것이다. 이들은 부검실에서 곧장 산부인과 병동으로 가서 그 손을 사용해 막 출산한 산모들의 복부를 검진했다. 이는 분명 제멜바이스에게는 끔찍한 괴로움을 안겨준 깨달음이었다. 임신부와 산모에게 도움과 구원이 되어야 할 의료진이 알고 보니 산모와 신생아에겐 죽음의 사신이었다니!
출산열이라고도 불리는 산욕열은 고대부터 모든 어머니들의 공포의 대상이었다. 그나마 부와 권력을 누리던 계층은 집이나 별장에서 아이를 낳음으로써 죽음의 공포에서 어느 정도 벗어날 수 있었지만 하찮은 부르주아나 하층민들은 종합병원에서 아이를 낳음으로써 그들의 대부분은 산욕열로 인한 죽음의 공포를 느껴야만 했다. 산욕열은 보통 출산 후 24시간 안에 시작되는데 당시의 의사들은 산욕열의 원인도 알지 못했고 그것을 통제하지도 못했다.
1847년 제멜바이스라는 산부인과 의사는 자신의 손에 죽어가는 산욕열의 환자 수가 여전히 줄지 않는다는 좌절감으로 잠시 일을 쉬었는데, 3주의 휴가 후에 돌아온 병원에서는 자신에게 좋은 충고를 해주는 친구였던 의사 야코프 콜레치카가 부검대에서 그를 기다리고 있었다. 제멜바이스는 슬픔을 억누르고 그를 해부함으로써 산모들을 죽음으로 내 몬 산욕열의 원인을 알아낸다.
손을 잘 씻는 것만으로도 질병을 예방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상식이다. 그러나 예전에는 그런 위생관념이 존재하지 않아 시체 안치소 한켠에 마련된 부검실에서 시체를 해부한 다음 바로 산부인과 병동으로 넘어가 면역력이 떨어져 있고 무방비한 산모의 몸을 검진했다니 정말 끔찍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손 씻기뿐만 아니라 염화석회 용액에 손을 담그는 방법까지 시행해 그 용액에 손을 담근 의사와 의대생들이 고통으로 제멜바이스를 미워했다지만, 그로 인해 산모들은 죽음의 공포에서 벗어날 수 있었으니 이그나즈 필리프 제멜바이스의 이름은 꼭 기억되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 의사들의 손이 항상 붉고 심각한 피부 트러블을 일으키며 쓰리고 가려웠다니 의사를 포기하고 싶은 사람도 많았었을 것 같다. 과연 지금의 수술 장갑은 언제쯤 발명되는 것일까? 그것도 이 책에 나와있다.
흥미롭고 재미있는 의학의 전설을 따라가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