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코마코스 윤리학 (그리스어 원전 완역본) 현대지성 클래식 42
아리스토텔레스 지음, 박문재 옮김 / 현대지성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니코마코스 윤리학』은 인간에게 가장 좋은 것이 무엇인지를 이해하기 위해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 쓰여진 전체 10권으로 된 윤리학 저서다. 인간에게 가장 좋은 것을 '행복'이라고 부르는데, 이 책은 그 행복이란 무엇인지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인간의 모든 활동은 "좋음"의 추구를 목적으로 한다. 즉, "좋음"과 동시에 "가장 좋음"은 다른 것을 위한 것이 아니라 그 자체를 목적으로 하여 추구된다.

정치학은 인간에게 가장 좋음을 추구하는 학문이다. 개인의 좋음을 실현하거나 보전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민족이나 국가의 좋음을 실현하는 것은 더 고귀하고 신성한 일이다. 이때 정치학이 달성 가능한 모든 좋음 중에서 가장 좋음을 "행복"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행복이 무엇인지에 관해서는 대중과 철학자들의 생각이 서로 다르다.


가장 좋음은 최종적인 것이다. 어떤 하나의 최종 목적이 존재한다면 그것이 우리가 찾는 가장 좋음일 것이다. 여러 개의 최종 목적이 존재한다면, 그중에서 더 최종적인 것이 우리가 찾는 가장 좋음이다. 최종적이라는 것은 어떤 다른 것을 위해 바라지 않고 그 자체로 바라는 것이다.

다른 무엇보다도 행복이 그러한 절대적으로 최종적인 것이다. 행복이란 다른 어떤 것을 위해 선택하지 않고 언제나 그 자체만으로 선택하기 때문이다. 행복이란 그 자체만으로 삶을 바람직하게 만들어주고 개인이 아닌 모두가 함께 살아가는 삶에서 부족함 없고 충분한, 자족적인 것을 의미한다.


미덕에는 지적 미덕과 도덕적 미덕이 있다. 지적 미덕은 주로 가르침에 의해 얻어지고 도덕적 미덕은 습관에 의해 생긴다. 우리는 본성적으로 도덕적 미덕을 받아들여 습관을 통해 완성한다.

특정 성품은 그 성품과 닮은 행위에서 생기므로 우리는 어릴 때부터 좋은 행동을 하여 습관화를 통해 도덕적 미덕을 완성하고 표현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미덕은 지나침과 모자람을 피하고 중간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일종의 중용이다. 그리하여 미덕은 실체와 본질의 관점에서는 중용이지만 가장 좋음과 잘하는 것이라는 관점에서는 최고가 된다.

하지만 모든 행위와 모든 감정에서 중용이 가능한 것은 아니다. 나쁜 감정이나 행위에는 중용이 있을 수 없다.



우리는 행복이 인간의 고유한 목적이라고 했다. 행복은 그 자체로 선택할 만한 활동 중 하나고 다른 것을 이루기 위해 선택하는 활동이 아니다. 미덕에 따른 행위가 그러하다. 고귀하고 훌륭한 활동은 그 자체로 바람직하고 선택할 만하다.

행복이 미덕에 따른 활동이라면 그중에서도 최고의 미덕을 따랐다고 해야 할 것이다. 최고의 미덕은 인간을 구성하는 것 중에서 가장 좋음과 관련된 미덕이다. 행복을 논하기 이전에 살펴보았던 관조적 활동이 그러한 활동이고 그것은 곧 최고의 활동이다. 지성의 활동은 관조적인 것으로 인간의 일이며, 이러한 지성의 활동이 일생에 걸쳐 이루어지기만 하면 이 활동은 인간의 완전한 행복이 될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 책을 통해 인간이 인간답게 살기 위해 지켜야 하는 윤리와 절제하는 삶과 행복한 삶은 무엇인가에 대해 논하고 있다. 그리고 그는 삶의 궁극적인 목적을 '행복'이라고 정의한다. 따라서 그 행복이 무엇인지, 어떻게 하면 행복에 다다르는지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행복이란 무엇일까?

정말 단순하고도 심오한 질문이다.

『니코마코스 윤리학』을 통해 시대를 거슬러 올라가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우리의 삶의 근본적인 이해에 대한 조언을 구하며 행복이란 무엇인가와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볼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