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나 카레니나 - 한 권으로 읽는 오리지널 명작 에디션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지음, 서상원 옮김 / 스타북스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테판 아르카지치 오블론스키는 가정교사로 있던 프랑스 여인과 불륜을 저지른 것을 아내에게 들켜 부부가 서로 싸우고 집안이 쑥대밭이 되었다. 그는 아내와의 다툼의 원인이 모두 자신에게 있음을 알지만 죄책감을 느끼지는 못했다. 그는 자신의 행동을 후회하지는 않았고 단지 아내를 더 잘 속일 수 없었던 것만 후회했다.

그는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동생 안나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안나는 기꺼이 그녀의 오빠를 돕기 위해 모스크바를 방문하겠다는 소식을 전한다.

스테판 아르카지치의 오랜 친구인 레빈은 스테판 아르카지치의 처제 키티에 대한 사랑이 일시적인 뜬마음과는 다르다는 것을 깨닫고 일단 구혼부터 해봐야겠다고 결심하고 시골에서 모스크바로 왔다.

레빈은 쉬체르바스키 공작 저택을 방문했고 키티에게 청혼을 했다. 키티는 청혼을 받은 순간 행복감과 환희를 느꼈지만 다음 순간 브론스키를 떠올렸다. 그래서 그의 청혼을 거절했다.

레빈은 절망하며 그대로 떠나려고 했지만 손님들이 연달아 들어오는 바람에 어쩔 수 없이 머무를 수 밖에 없었다. 그런데 그 손님중에 키티가 사랑하는 브론스키가 있었고 그는 브론스키가 어떤 사람인지 궁금했다.

브론스키는 이제껏 가정생활이라는 것을 해본적이 없다. 그의 어머니는 오직 빛나는 사교계의 주인공이었고, 결혼 후 미망인이 된 후에는 많은 로맨스를 뿌렸고, 아버지에 대한 기억도 없었다. 그는 결혼이라는 것이 자신에게 가능하다고 생각하지 않았고, 가정생활이라는 것도 좋아하지 않았다.

다음 날 브론스키는 어머니를 마중하기 위해 역으로 나갔고 거기서 누이동생 안나를 기다리는 스테판 아르카지치를 만난다. 그리고 스테판 아르카지치에게 키티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자기가 승리자라고 느끼며 흥분하고 기쁨을 느꼈다.

브론스키는 어머니를 모시러 차장을 따라가다 입구에서 밖으로 나오는 귀부인과 마주쳤다. 그는 한 번 더 그녀를 보았으면 하는 생각이 들어 뒤돌아 보았고 그녀 또한 브론스키 쪽으로 고개를 돌리고 있었다.

그 부인은 밖에서 자신의 오라버니를 찾다가 다시 차실로 올라왔다. 그 때 비로소 브론스키는 그녀가 스테판 아르카지치의 여동생 카레닌 부인이라는 것을 알았다.

브론스키의 어머니는 브론스키가가 마음에 드는 사람이 생겼다는 소문을 들었다며 축하했지만 브론스키는 무슨말을 하는지 모르겠다며 차갑게 대꾸했다. 그러고는 멀어져가는 안나의 뒷모습을 보는 브론스키의 얼굴에는 계속 미소가 감돌았다.

그들이 기차역을 떠나려고 했을 때 철로 인부가 열차에 깔려 죽는 사고가 일어났다.

안나는 불길한 징조라며 떨었지만 스테판 아르카지치는 쓸데없는 이야기라며 그녀가 와 주었으니 모든 것이 잘될 것이라고 했다.

안나는 다리야 알렉산드로브나와 이야기를 나누었고 자신의 오빠에 대한 애정이 남아 있다면 오빠를 용서해 달라며 둘 사이의 중재 역할을 충실히 했다. 저녁식사가 끝나고 키티가 찾아왔고, 키티는 안나에게 무도회에 꼭 나오라고 이야기했다. 안나는 키티가 무언가 좋은 일이 있어 그 자리에 여러 사람이 있어줬으면 하다는 것을 눈치챘다. 차 마실 시간이 되어 오빠 부부는 화해를 한 듯한 모습을 보여주었고 안나는 자신이 그 계기가 된 것같아 기뻤다.

다음 날 무도회에서 브론스키와 안나는 다시 만나게 되었다. 처음에 브론스키를 못본척 무시하던 안나는 어느 순간엔가 그와 춤을 추며 행복하고 흥분한 표정, 황홀하고 기쁜 미소를 짓고 있었다.

키티는 브론스키의 표정을 보고 가슴이 철렁했다. 안나의 얼굴에서 보았던 것을 그대로 브론스키의 얼굴에서 보았던 것이다. 심지어 복종과 경외의 눈빛을 보였다. 브론스키 얼굴에는 키티가 지금까지 한 번도 본 적없는 표정이 떠올라 있었다.

가까이서 두 사람을 바라보고는 키티는 자신의 불행이 확정적임을 깨달았다.

안나는 다음 날 아침 일찍 남편에게 돌아가겠단 전보를 치고 떠날 채비를 했다. 만류하는 다리야 알렉산드로브나에게 브론스키와의 사이에서 있었던 감정을 털어놓았고, 다리야 알렉산드로브나는 브론스키가 겨우 하루만에 안나에게 사랑을 느꼈다면 키티와의 혼담은 깨지는 것이 낫다고 이야기했다.

안나는 집으로 돌아가는 기차에서 모스크바에서의 추억을 되새겨 보았다. 모두 기쁘고 즐거운 추억이었다. 무도회 일도 생각했고 브론스키에 대해서도 떠올렸다. 그에 대한 것은 전부 떠올렸지만 아무런 부끄러운 일은 없었다. 동시에 그것은 부끄러운 일이었다. 그를 생각하면 가슴속에서 무언가 끓어올랐다.

기차가 잠시 어느 역에 정차했을 때 안나는 바람의 쐬러 기차밖으로 나갔다 돌아오는 길에 브론스키를 만났다. 안나의 얼굴에는 기쁨과 생기가 되살아났고 브론스키는 안나가 있는 곳에 있고 싶어 이곳에 왔노라고 이야기하는데…….




『안나 카레니나』는 안나를 비롯한 여러 등장인물들의 사랑에 대해 이야기한다.

안나와 브론스키와의 인정받지 못한 열정적이고 관능적이고 육체적인 사랑과 키티와 레빈의 서로를 정신적으로 이해하고 진실되고 상호존중하는 믿음의 축복받은 사랑을 대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물론 그 외 인물들의 여러 사랑의 방식에 대해서도 보여주고 있다.

스테판 아르카지치 부부의 사랑의 방식, 안나의 남편 알렉세이 알렉산드로비치의 사랑의 방식.

톨스토이는 이 모든 사람들의 사랑에 대한 고민과 심리적 갈등을 겪는 내면의 불안과 복잡한 심경에 대해 예리한 심리묘사를 보여주며 독자들이 작품에 몰입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이 소설은 단지 사랑만 부각되는 소설이 아니라 당시 러시아의 정치상황과 노동자 문제 같은 사회상을 보여주며 인간의 삶에 대한 문제를 고찰하게 한다.

자신의 모든 것을 걸었지만 결국은 비극적인 결말을 맞게 되는 안나가 지탄받아야 한다고 누가 돌을 던질 수 있을까?

물론 불륜이란 이름 아래 안나를 욕할 사람도 있겠지만, 사랑이 식어버린 남편과의 결혼 생활 중에 사랑이라 생각한 브론스키를 만나 뜨겁게 자신을 태우고 가버린 그녀를 보면 '사랑이란 대체 무엇인가', '사랑이란 삶과 맞바꿀 정도로 가치있는 것인가'를 고민하게 하고 안타까워할 뿐이다.

만약 안나와 브론스키의 사이에 약간의 서로에 대한 이해만 있었더라면 결말은 달라지지 않았을까?

진실한 사랑이란 어떤 것일까?

키티와 레빈의 사랑이 정답인 것일까? 글쎄…….

인생에 정답이 없는데 사랑에 대한 정답이 있을까!!

인생이란 무엇인가? 행복한 삶이란 무엇인가?

여운이 많이 남고 깊은 생각에 잠기게 하는 소설이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