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판의 날의 거장 열린책들 세계문학 271
레오 페루츠 지음, 신동화 옮김 / 열린책들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09년 9월 26일 일요일, 요슈 남작은 고르스키 박사와 사중주를 연주하기 위해 궁정 배우 오이겐 비쇼프 저택으로 간다. 그들의 연주 도중 오이겐과 친분이 있는 엔지니어 발데마르 졸그루프가 음악실로 들어오고 그로 인해 음악연주는 잠시 중단된다.

오이겐의 가족들은 오이겐이 받을 충격을 피하기 위해 거래 은행이 파산했다는 사실을 숨기려 신문을 숨겼다. 그런데 요슈 남작은 다른 화제거리를 이야기하며 오이겐에게 신문을 봤냐고 물었다. 오이겐의 가족들은 그를 쏘아댄다. 요슈 남작은 무심결에 실수했을 뿐이라며 자신을 변호한다.

오이겐은 재능이 탁월한 아카데미 학생이 아무런 이유가 없이 자살한 이야기를 한다.

유족들은 그 자살을 납득할 수가 없어 해군장교인 그의 형이 사건의 진상을 밝히기 위해 동생이 살던 집에서 동생의 생활을 그대로 두 달 정도 따라했다고 한다. 그러던 어느날 그도 자신의 방 유리창에서 뛰어 내려 자살하고 만다. 그때 방에서는 누군가와 모르는 언어로 말하는 소리와 함께 짧은 외침이 들렸었다고 한다.

이야기를 들은 사람들은 오이겐이 지어낸 이야기라고 생각했다.

친구들은 오이겐에게 곧 무대에 오를 공연을 잠시 보여줄 것을 요청했고, 오이겐은 친구들에게 보여줄 리처드3세를 준비하러 별채로 갔다. 그러나 오이겐의 짧은 외침. 잠시 뒤 총성이 울렸다. 디나와 같이 있던 요슈 남작은 놀라 별채로 달려갔고 음악실에 있던 다른 사람들도 달려갔다.

오이겐 비쇼프가 자살을 했다.

졸그루프는 오이겐 비쇼프가 스스로 삶과 작별한 것이 아니라 죽음으로 내몰렸다고 한다.

오이겐의 아내 디나와 그녀의 남동생 펠릭스는 요슈 남작에게 오이겐 비쇼프의 자살의 책임을 돌렸다.

그들은 요슈 남작이 예전 연인이었던 디나를 되찾기 위해 일부러 오이겐에게 그의 거래 은행이 파산했다는 것을 알려 그를 죽음으로 내몰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증거로 제시한것이 사건 현장에 있던 요슈 남작의 섀그 파이프.

그러나 요슈 남작은 그곳에 없었다.

누가 오이겐 비쇼프를 죽음으로 몰아간 걸까?

요슈 남작은 집에 바로 가지 않고 음악실로 갔다. 그리고 그곳으로 걸려온 전화를 무심코 받았다.

전화를 건 젊은 여인은 오이겐 비쇼프와의 통화를 원했으며, 그녀는 모든게 준비 되었고 내일 자신의 집에서 기다리겠다고 전해달라는 말을 했다. 자신은 '최후의 심판'을 절대 더는 못기다리겠다는 의문의 말을 하는데…….




졸그루프가 고르스키 박사와 함께 진범을 찾아가며 이야기가 전개된다.

요슈 남작의 무죄를 주장하는 졸그루프는 의문의 여인으로부터 걸려온 전화에서 언급된 '최후의 심판'에 초점을 맞추어 사람들의 심리를 조종해서 자살로 내모는 '괴물'을 추적해 나간다.

그 과정에서 드러나는 여러 피해자들.

그러나 책을 읽는 동안 현실과 환상과 망상을 오가며 방황하는 요슈 남작을 보며 요슈 남작이 실제 범인이 아닐까 하는 의심을 품게 된다.

요슈 남작은 자신이 하지도 않은 일의 장면이 끊임없이 떠오르며 정신적으로 방황한다. 그는 그가 하지 않은 말을 자신이 한 것처럼 믿고 자신에게 죄가 있다고 믿기도 했다.

자신이 했던 것을 기억 못하는 일도 있다. 그는 남들이 그를 봤던 장소에 갔던 기억하지 못할 때도 있다.

그리고 언제 생긴지 모르는 상처도 있다.

그러나 분명 그는 사건 현장에 없었다.

단순히 사건의 중압감을 견디지 못해서 정신적 불안이 왔을까?

과연 졸그루프가 주장하는 '괴물'은 존재하는 것인가?

사건이 해결된 듯 끝맺음을 한 뒤, 마지막 4페이지 분량의 「편자후기」에서 드러나는 역대급 반전이 이 소설을 다시 처음부터 보게 만든다.

어디까지가 소설속의 허구이고 어디가 소설속의 현실인가?

끝까지 다 읽었음에도 쉽게 책을 놓을 수 없게 만드는 소설이었다.




*출판사 열린책들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