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읽는 돈의 세계사 - 화폐가 세상을 바꾼 결정적 순간들
미야자키 마사카츠 지음, 서수지 옮김 / 탐나는책 / 2021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돈은 가치를 측정하는 잣대, 교환의 매개로 사회에 모습을 나타냈다. 즉 돈은 사회를 원활하게 움직이는 ‘혈액’으로서의 기능을 담당했으며, 그 기능은 아주 단순했다. 처음에는 곡물, 가축 등 다양한 상품이 돈의 기능을 나누어 맡다가, 마침내 특별한 소재만이 살아남게 되었다.

p.8



현대 사회의 사람들에게는 당연하게 여겨지는 돈. 이제는 전자기기와 인터넷의 발달로 지폐는 물론이고 심지어는 신용카드도 대체되어가고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돈은 전에는 항상 지폐와 동전이었는가?

아니다. 현대적인 지폐와 동전은 모두 갈고 닦여서 만들어진 화폐의 모습이다.

그러면 과거에는 어땠을까?

돈의, 더 정확히는 화폐의 역사를 되짚어 나가면, 초기의 화폐, 즉 곡식이나 비단 등의 물건이 화폐로서의 역할을 했던 시기까지 넘어간다. 사람들이 ‘돈’이라고 말하면 머리에 떠올리는 실질적인 주화와 같은 형태의 화폐는 4대 문명에서 시작되었다.

처음에는 금, 은 등의 실질적인 가치가 있는 화폐들로 만들어져서 그 자체가 가치를 대표하는 주화의 형태였으나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이보다는 현재와 같은 지폐, 동전 등 그 재질이 아닌 부여된 가치로 판단이 되는 화폐가 등장하였다.

화폐의 등장 이후 경제는 발달하였으며, 이러한 과정 속에서 남해회사와 같은 초기의 주식회사 등부터 최초의 보험 등 현재에는 익숙한 것들이 차차 생겨났다.

화폐는 초기에는 금본위와 같이 국가의 특정 귀금속 보유량에 따라 그 나라의 화폐 가치가 평가되었지만, 대공황을 지나면서 달러가 세계 기축 통화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그 후 20세기 말, 화폐의 전자화가 시작되었다.

보통 풀어놓으면 더 복잡해지기 마련인데, 이 책은 더 간단하게 풀어놓음으로써 ‘돈’을 둘러싼 세계의 변화, 역사의 전개 과정을 명료하게 독자에게 전달한다.

돈의 발달과 흐름을 통해 세계사의 전개와 발전을 알기 원한다면 이 책을 통해 쉽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출판사 탐나는책으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