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로 읽는 피케티의 21세기 자본 - 읽기 쉽게 새로 편집한 자본론의 핵심이론 만화 인문학
야마가타 히로오 감수, 코야마 카리코 그림, 오상현 옮김 / 스타북스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이 책에서 19세기부터, 만약 자료가 허락한다면 더 멀리 18세기부터의 자본과 재산, 부의 분배 역사를 보여 주고자 했다. 이 작업은 공동 작업으로 토니 애킨슨, 이매뉴엘 사에즈, 장-로랑 로장탈 등 수많은 학자가 참여하여 수많은 자료, 특히 프랑스의 상속과 관련된 기록들을 수집했다. 프랑스 혁명이 이상적인 국가를 만든 것은 아니지만 아주 훌륭한 소위 ‘재산 관측소’를 만들어 냈다. 즉 혁명 후부터 프랑스는 금융재산, 부동산 등을 기록하기 시작해 현재 그 기록들을 연구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미국이나 영국에서는 1세기나 더 늦게, 1910년대부터 상속세법이 만들어졌고 이때부터 ‘흔적’을 남길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자료가 없었기 때문에 연구자들은 오랫동안 적당한 자료도 없이 부의 불평등에 대해 언급해 왔던 것이다.

-p.204


엘리트 경제학자 토마 피케티가 주류 경제학의 “놔두면 경제 성장으로 불평등이 다~아 해소돼~”라는 식의 접근 방식에 반기를 들고 쓴 현실적인 책 『21세기 자본』.

이 책에서 그는 r>g라는 부등식, 즉 자본수익률이 경제성장률보다 크다는 부등식이 항상 성립해 왔다는 것을 언급하며 이러한 상황이 결국에는 과거 귀족 사회와 같은 부의 극심한 불평등이라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라 예견하였다. 게다가 아무리 기술과 노동이 발전하여 생산하는 가치가 증대되더라도 자본 또한 노동을 대체할 수 있게 빠르게 발전하기 때문에 결국 자연적인 메커니즘 속에서는 자본에 비한 노동의 중요성이 증가할 수 없다고 한다.

이를 막거나, 그러지 못하더라도 최소한 완화시키는 방법으로 그는 자본세, 또는 누진과세라는 것을 통한 세계적인 부의 편중화를 투명화시키는 것을 언급하였다. 또한,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가장 효과적으로 격차를 줄이는 방법은 교육과 기술에 대한 투자를 증가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노동자의 평균 생산성과 경제 전반의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것이라고 하였다.

격차 해소를 위해서는 경제성장률을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해결하는데 있어서는 단기간이 아닌 10년에서 30년 정도를 단위로 두고 판단을 해나가야 한다는 게 피케티의 주장이다.




이러한 내용들은 간단해 보이면서도 막상 설명을 읽으면 복잡해 경제학적 지식이 없는 사람들에게는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는데, 이 책에서는 내용을 만화와 연계시킴으로써 독자에게 더욱 친근하게 접근하며 자연스러운 이해를 이끌어낸다.

『21세기 자본』 주요한 요점들이 내용에 잘 녹아 있어 간단하게 만화를 읽는 느낌으로 책을 펼쳐서 똑같이 가벼운 마음으로 마지막 장을 넘길 때에는 이미 머릿속에 책 내용이 들어와 있게 된다.





*출판사 스타북스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