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러시아 원전 번역본) - 톨스토이 단편선 현대지성 클래식 34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지음, 홍대화 옮김 / 현대지성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톨스토이 단편 중에 가장 유명한 것이 아마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일 것이다. 그러나 나는 어릴때 무척 재미있게 보았던 동화가 「바보이반」이다.

「바보이반」은 모자르지만 성실한 이반이 똑똑한 두 형들과는 달리 악마의 무수한 꾐에도 빠지지 않고 특유의 우직함과 성실함으로 결국 큰악마까지 물리치고 왕국에서 행복하게 산다는 이야기이다. 그 왕국에서는 물욕없이 누구나 필요하면 똑같이 나누어 쓰고 일한 사람만 대우받으며 먹는다. '성실하고 정직한 사람은 복을 받는다','욕심이 많으면 화를 부른다' 뭐 이런 교훈을 느끼며 재미있게 봤었다. 끝부분에 악마가 머리를 써서 돈을 버는 장면은 배를 잡고 깔깔 웃으며 아주 재미있게 읽으면서……. 다시 봐도 이 단편이 제일 재미있다.

그런데 어른이 된 후 다시 읽는 단편에는 또 다른 의미가 부여된다. 「바보이반」에 나오는 이반이 다스리는 왕국은 톨스토이가 바랐던 이상세계가 아닐까? 욕심부리지 않고 다같이 나눠쓰고 신분을 막론하고 다같이 노동하는. 그가 꿈꾸던 이상주의적 세계는 사회주의의 이상과도 일치한다.

톨스토이의 작품들을 보면 갈취하는 영주와 착취당하는 농노들의 농촌이 주로 등장한다. 톨스토이는 러시아 최상층 토지 귀족 가문 출신이었음에도 자신의 배경을 미련없이 버린다. 당시 농노제도가 붕괴된 러시아는 자본주의로 발전되어 갔고 노동자와 부르주아의 갈등이 심했다. 톨스토이 작품은 대중들의 빈곤과 고통을 비중있게 다룬다. 당시 체제의 붕괴를 가져오는 사회주의 혁명인 러시아혁명 후에 레닌은 톨스토이작품은 '러시아 혁명의 거울'이라 평했다.

또한 이 책에 나오는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사랑이 있는 곳에 하나님이 있다」, 「두 노인」 등의 단편들에서는 하나님의 사랑을 알리고 하나님의 말씀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세상을 살아가는데 사랑이 중요하며, 그 사랑을 통해 참다운 구원과 하나님의 말씀을 깨달을 수 있다는 것이다.

평생 무신론자로 살다가 50세가 넘어서야 기독교를 믿게 된 톨스토이는 기독교 신앙이 삶에 있어서 핵심이 되게 된다.

책에서 그토록 하나님의 사랑과 말씀을 구한 그는 자신을 구원해준 기독교의 교리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연구하는데 아이러니하게도 이 내용이 자신의 믿음과 너무나 동떨어진 것을 발견하고는 비판하는 입장에 선다. 이에 그리스 정교회는 톨스토이를 이단으로 규정하고 파문하게 된다.

어릴 때 교훈이 담긴 동화로써 읽던 단편들을 어른이 된 후 톨스토이와 당시 러시아의 시대상황을 알고 연결하여 보니 작품에서 느끼는 감상이 조금씩 달라지고 새롭다. 무엇보다도 이번에 읽은 내용 중 가장 가슴에 와 닿는 구절은 다음과 같다.

가장 중요한 시간은 바로 지금이라네. 가장 중요한 이유는 그 시간에만 우리는 자신을 통제할 수 있기 때문이네. 가장 필요한 사람은 지금 만나고 있는 그 사람인데, 다른 사람과 어떤 관계를 맺게 될지 아무도 모르기 때문이지.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그에게 선을 행하는 것이라네. 우리는 오직 그것을 위해서만 살아가도록 보냄을 받았기 때문이라네.

-p.227

현실에 충실하자!

사랑과 선을 베풀고 행하자!



*출판사 현대지성으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