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 갈래 길
래티샤 콜롱바니 지음, 임미경 옮김 / 밝은세상 / 2017년 12월
평점 :
프랑스 소설은 매우 오랜만에 읽어보았다. 이 책의 작가 래티샤 콜롱바니는 연극학교에서 연기도 배우고 시나리오 작가이면서 양화 감독이기도 하다. 자신의 재능을 살려 한 가지 분야에서 큰 재능을 가진 작가인 것 같다.
이 책을 처음 읽을 때는 이렇게 감동을 줄 내용인 걸 몰랐다. 세갈래길이라는 제목이 와 닿는 내용이었다. 인도의 스미타는 인도의 계급 가운데 가장 낮은 단계인 불가촉천민인 달라트다. 동네의 화장실을 청소해주고 남은 음식물을 받아먹는 그런 단계다. 시칠리아의 줄리아는 가발을 만드는 수공업장을 운영하는 아버지를 제일 잘 돕는 집안의 딸이다. 캐나다의 사라는 로펌에서 일하는 워킹우먼이다. 일밖에 모르는 변호사 사라는 모든 것의 우선이 일이다.
이야기는 세 사람의 상황을 넘나들면서 줄거리를 만들어 내고 있다. 인도와 시칠리아, 캐나다를 오가는 이야기는 진행될수록 흥미진진해진다. 특히 인도의 스미타가 딸을 자신과 같은 인생을 살지 않게 하려고 목숨을 거는 내용은 숙연해지기도 한다. 엄마는 여자보다 위대하다는 말이 실감난다. 줄리아의 사랑과 사업도 공감되는 내용이 많다. 변호사 사라의 경우 여성이라는 이유로 차별받는 세상에서 어떻게 하면 성공할 수 있는지 애를 쓰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남성들보다 뛰어난 재능을 가지고 있는 여성인 사라는 늘 완벽을 추구하고 조심하면서 살아가고 있다. 여성이라고 차별받는 일은 많이 줄어들었다고는 하지만 아직 사회적 인식은 그렇지 않은 것 같다. 남자들이 만들고 있는 세상에 월등하게 뛰어난 여성이 있는 것을 남성들이 좋아하지 않는 것이다. 결국 병에 걸린 후 좌절을 맛보게 되는 사라.
마음이 울컥해진다. 사라는 정말 열심히 살았는데 그녀에게 왜 그런 일이 일어나는지...
결국 세사람의 긴 여정이 다시금 모아지는 대목에서는 아~ 하는 탄성이 나왔다. 이 책의 제목처럼 땋은 머리를 만드는 세갈래 머리처럼 세 사람의 행보가 다시금 모여 감동을 이루는 이야기를 읽으면서 작가가 감탄스러웠다. 마지막을 어쩌면 이렇게 자연스러우면서도 감동적으로 잘 마무리했는지 마음이 촉촉해졌다. 인도의 카스트제도에 대한 생각도 다시금 하게 됬는데 정말로 살고 있는 사람들 입장에서는 얼마나 더 힘들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