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탄잘리
라빈드라나드 타고르 지음, 류시화 옮김 / 무소의뿔 / 2017년 11월
평점 :
이 책의 작가는 타고르다. 타고르는 인도의 시인으로 동양 최초의 노벨 문학상을 받은 문학가다. 103편의 시가 들어 있는 시집으로 류시화 작가가 옮겼다. 류시화 작가의 면면도 늘 경외심을 가지게 하고 그의 작품도 좋다. 왠지 타고르와 류시화 작가가 어울린다는 생각이 많이 든다.
책의 표지는 깔끔하다. 안의 내용도 103편의 타고르의 시를 먼저 소개하고 타고르의 생애를 정리해 주었다. 타고르의 정신세계와 작품 안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을 류시화 작가는 잘 짚어주고 있다. 류시화 작가의 작품들도 읽어보았는데 마음을 가다듬는데 많은 도움을 주는 글들이었다. 타고르 시인의 작품들도 그런 느낌이 강했다. 이 작품은 신에게 바치는 송가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사랑하는 연인에게 주는 시 인 것처럼 서정적이면서도 마음을 포근하게 만드는 느낌이 들었다. 한 편을 읽고 다음 편을 읽어도 이야기가 이어지는 것과도 같고 비슷한 느낌이 많이 들었다.
서문은 우리가 익히 잘 알고 있는 시인인 아일랜드의 예이츠 시인이 적었다. 예이츠도 타고르의 사상과 시에 매료된 것인데 인도의 시인이면서 사상가 그리고 교육자로 타고르는 많은 추앙을 받았다.
시 안에서 등장하는 그대는 곧 신을 의미한다고 한다. 인도라는 환경 안에서 신의 존재는 빼놓을 수 없는 존재다. 타고르의 사진을 보았는데 눈빛이 강인하게 살아있는 것이 보였다. 강인한 눈빛 안에 철학적인 생각과 고요한 마음이 들어있어 신에게 기도하는 마음을 시로 표현한 것이었을 것이다. 기도 또한 시다. 마음 안에서 나오는 외침들을 신에게 바치는 기도로 만들어 내었다. 사실 타고르나 기탄잘리라는 말은 들어보았지만 읽어 본 것은 처음이었다. 책이 읽기에 무리가 없고 편안했다. 아마도 책의 행간 안에 마음의 평온을 가져오는 철학적인 아름다움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